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가가 존재하는 한 스웨덴은 행복하다


입력 2019.07.14 06:08 수정 2019.07.14 06:11        이석원 객원기자

<알쓸신잡-스웨덴 57>유엔 세계행복보고서 북유럽 모두 최상위

작은 행복이 행복의 모든 것 될 수 있다는 미니멀리즘 큰 영향

<알쓸신잡-스웨덴 57>유엔 세계행복보고서 북유럽 모두 최상위
작은 행복이 행복의 모든 것 될 수 있다는 미니멀리즘 큰 영향


스웨덴 사람들의 행복도는 상당히 높다. 단순히 잘먹고 잘사는 문제만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국가가 자신들을 위해 존재한다는 믿음은 그들의 행복도를 높이는 큰 요인이다. (사진 = 이석원) 스웨덴 사람들의 행복도는 상당히 높다. 단순히 잘먹고 잘사는 문제만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국가가 자신들을 위해 존재한다는 믿음은 그들의 행복도를 높이는 큰 요인이다. (사진 = 이석원)

비단 스웨덴 사람 뿐 아니라 덴마크나 노르웨이, 그리고 핀란드 등 북유럽 사람들의 일상의 표정에는 큰 근심이나 어두운 고민의 빛이 짙지 않다. 누군가가 느닷없이 “너는 지금 행복하니?”라고 물어봐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밝게 웃으며 “당연히 행복하지”라고 스스럼없이 답한다.

그와 관련한 설문조사가 거의 없지만, 혹여 언론사의 그런 설문조가사 있더라도 사람들이 삶에서 행복함을 느낀다는 대답이 절대 다수인 것은 분명하다. 물로 스웨덴의 경우 이민자와 난민으로 인한 인구 구성이 다소 복잡해졌지만, 그들조차도 스웨덴 사회에서 몇 년만 적응한다면 기존의 스웨덴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대답을 한다.

유엔은 이런 사실을 통계로 확인했다. 지난 3월 20일 유엔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SDSN)에서 발표한 ‘세계 행복 보고서 2019(World Happines Report 2019)’를 보면 북유럽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이 단지 정서적인 느낌만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worldhappiness.report/ 참조)

이 지수는 156개국을 대상으로 지난 2016년부터 2018년 동안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per capita),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 평균 수명(healthy life expectancy), 삶의 선택의 자유(freedom to make life choices), 관용(generosity),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perceptions of corruption) 등 모두 6개 항목으로 측정됐다.

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에 랭크됐다.

10점 만점에 핀란드가 7.769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와 노르웨이가 7.600점과 7.554점으로 2위와 3위를, 아이슬란드가 7.494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북유럽과 인접한 네덜란드가 7.488점으로 5위를, 스위스가 7.480점으로 6위에 올랐지만 그 뒤를 이어 북유럽의 중심국인 스웨덴이 7.343점으로 7위에 랭크됐다.

북유럽 국가를 지칭하는 노르딕 다섯 나라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가 최상위 순위에 모두 자리 잡은 것이다.

북유럽 국가 중 스웨덴의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인구와 경제 규모로 보인다. 핀란드와 덴마크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에 비해 경제 규모와 인구가 월등히 높다 보니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이 사회를 구성하면서 ‘덜 행복’하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비EU 국가의 이민자들이 많고, 분쟁지역에서 유입된 난민들도 많다보니 사회 구성이 보다 다양한 때문이라는 것.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탈(KOSIS)에 따르면, 2019년 현재 스웨덴의 인구는 1005만 명이 조금 넘고, 덴마크가 577만 명, 핀란드가 556만 명, 노르웨이가 540만 명, 아이슬란드가 34만 명 정도다. 덴마크와 핀란드 노르웨이는 스웨덴에 비해 인구가 50%를 조금 넘는 수준이고, 아이슬란드는 0.3% 수준이다.

행복도가 높은 스웨덴과 북유럽 사람들은 삶은 여유롭다. 그들의 삶이 가장 부러운 부분일 것이다. (사진 = 이석원) 행복도가 높은 스웨덴과 북유럽 사람들은 삶은 여유롭다. 그들의 삶이 가장 부러운 부분일 것이다. (사진 = 이석원)

또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스웨덴이 5380억 달러가 조금 넘고, 노르웨이가 3988억 달러, 덴마크가 3248억 달러, 핀란드가 2518억 달러, 아이슬란드가 239억 달러를 조금 넘고 있다. 노르웨이가 스웨덴에 비해 74% 수준이고, 덴마크가 60%, 핀란드가 47%, 아이슬란드가 0.4% 수준이다.

인구와 GDP 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한 나라의 규모를 짐작케 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데이터를 놓고 봐도 스웨덴은 다른 북유럽 네 나라에 비해 규모가 훨씬 크다보니 행복 지수가 조금 낮게 나오는 것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게다가 지난 2010년 이후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 등에서 들어온 난민들이 다른 네 나라에는 거의 없지만 스웨덴에는 약 20만 명(인구의 2% 수준)에 이르는 것도 스웨덴이 다른 네 나라에 비해 행복 지수가 낮을 수 있는 이유로 분석된다.

그럼 굳이 북유럽 나라들을 구분하지 않고,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문화권으로 놓고 봤을 때 이들 나라의 행복 지수가 높은 이유는 무얼까? 단지 1인당 GDP가 높은 것? 또는 그것을 바탕으로 한 복지 시스템?

스웨덴 사람들은 북유럽 사람들의 행복 지수가 높은 이유를 1인당 GDP나 복지 시스템에서만 찾지는 않는다. 경제적인 욕망이 크지 않고, 작은 행복이 행복의 모든 것이 될 수 있다는 미니멀리즘이 더 큰 이유라고 말한다.

스웨덴 생활 중에 만난 많은 북유럽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고 스스로에게 만족하는 삶과 국가의 사회 안전망’ 때문에 자신들은 행복하다고 말한다. 그들 상당수는 “어떤 사람들은 큰 집과 좋은 자동차를 타고 다니고 고가품으로 치장하며 그 나름의 행복을 느끼겠지만, 그런 타인의 삶을 보면서 행복을 구분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북유럽에서는 개인이 어떤 순간에도 국가의 시스템으로부터 버려지지 않는다는 확신 때문에 더 행복할 수 있다”고도 말한다.

결국 한 나라 속에서 구성원으로서의 개인들은 그것이 절대적인 가치로의 행복이든, 상대 평가한 행복이든 결국 스스로 만족하고, 사회 시스템이 뒷받침해주면 과도한 경쟁력 다툼이나 필요 이상의 성공 의지가 아니더라도 행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참고로 SDSN의 ‘세계 행복 보고서 2019’에서는 G2라고 불리며 세계 경제를 양분하는 미국(6892점)과 중국(5191점)은 각각 19위와 9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경제 대국인 일본(5886점)은 58위, 그리고 한국(5895점)은 일본이나 중국보다 앞선 54위다.

글/이석원 스웨덴 객원기자

이석원 기자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석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