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돌아온 소·부·장···정부 손짓 ‘대세주’ 자리 탈환?


입력 2019.10.14 06:00 수정 2019.10.14 05:53        백서원 기자

IT소재·부품·장비 주도주 되나…이달 장비업종지수 7% 이상↑

정부 지원·반도체 힘…“실제 국산화 가능한 기업에 투자돼야”

IT소재·부품·장비 주도주 되나…이달 장비업종지수 7% 이상↑
정부 지원·반도체 힘…“실제 국산화 가능한 기업에 투자돼야”


정부 지원과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등으로 국내 IT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종목 열기가 되살아날 전망이다. 사진은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자료사진)ⓒ삼성전자 정부 지원과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등으로 국내 IT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종목 열기가 되살아날 전망이다. 사진은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자료사진)ⓒ삼성전자

정부가 국내 IT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재정투자에 나서면서 관련 종목 열기가 되살아날 전망이다. 소부장은 과거 주식시장을 견인한 인기 테마였지만 한동안 업황 악화로 침체기를 겪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부 지원과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감 등으로 외국인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주(7~11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약 779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948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1727억원을 매수했다. 외국인은 코스닥시장에서 에이치엘비(785억원), 케이엠더블유(257억원), 메지온(149억원), CJ ENM(142억원), 동진쎄미켐(134억원) 등을 사들였다.

이달 들어 임상 이슈가 있는 바이오와 함께 국내 IT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이 매수 상위종목을 차지한 것이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8월 이후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의 반도체·장비업종지수는 약 7~8% 넘게 올랐다.

삼성전자 실적 호조에 따른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과 내년 서버용 D램 및 중국의 5G 도입에 따른 핸드셋(Handset) 수요 증가 전망,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설비투자 확대 기대감 등이 작용한 결과다. 국산화 대체 본격화에 따른 언론 보도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지난 11일 일본의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부장 핵심 전략품목의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달까지 ‘100+알파(α)’ 품목을 확정하고 품목별 우선순위를 정해 맞춤형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동시에 특별회계를 신설해 2024년까지 매년 2조원 이상의 재정을 소부장 경쟁력 강화에 투입할 계획이다.

소재·부품 전문기업의 상장 문턱도 낮췄다.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안’의 일환으로 코스닥 기술평가 제도를 변경했다. 소재·부품 전문기업이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통해 상장을 시도할 경우 기술평가기관 1곳에서 A등급 이상을 받으면 코스닥 상장 요건이 갖춰지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는 2곳 이상에서 A 혹은 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했다.

미래먹거리 선점을 위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투자도 진행되고 있다. 앞서 10일 삼성디스플레이는 2025년까지 차세대 ‘퀀텀닷(QD) 디스플레이’에 13조1000억원을 신규 투자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지난 4월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를 목표로 133조원 투자를 결정한 데 이어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도 선제적인 투자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호재성 재료가 잇따르자 증시 전문가들은 IT 소부장주의 주가가 양호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까지 보수적으로 추정된 설비투자 계획만으로도 모멘텀이 존재한다는 점과 함께 효율화, 저전력 등의 신제품 양산 기대감 등을 감안할 때 관련 밸류체인 기업들의 주가는 양호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또 “신약 모멘텀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바이오업종의 상승은 당분간 연속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바이오 이외에 10월 계절성이 있는 중국 관련소비주는 과거 대비 지배력이 약화됐다”며 “이를 감안하면 IT 소부장주가 초과 수익을 얻기 위한 대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다만 정부 주도의 품목 선정·지원으로 관련 종목 주가가 오르는 것은 그만큼 변동성이 뒤따르는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외교·정치적 상황에 따라 기업들의 주가가 요동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 실제 국산화가 가능한 기업에 투자가 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지원의 경우, 옥석 가리기로 될성부른 업체들에만 투자가 이뤄지는 게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투자자들이 정책 모멘텀에 따라 관련 중소 종목에 투자할 시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정인교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지난달 26일 열린 데일리안 경제산업비전 포럼에서 정부의 소부장 지원 정책에 관해 “물론 이번 일로 국내 부품소재 기반을 넓히는 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정부가 나서서 100개 품목을 선정·지원해 키우겠다는 발상은 맞지 않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세계에서 기술 무기화가 될 수 있는 국산소재를 10개라도 만들어내려고 한다면 정부가 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기업들에 묻는 게 더 빠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품화 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누구보다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이 잘 알고 있을 텐데 그 기업들과 협력 논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칫 품질 낮은 기업에 재정투자금만 들어가게 되고 이는 반도체 생산 불량품 문제와 비즈니스 차질로 이어져 한국 부품사업은 결국 현재와 다를 바 없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