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제주도, 풍력발전 출력제한 1년새 2배↑ ..재생E 발전비중 증가 등 원인


입력 2019.11.19 06:00 수정 2019.11.18 17:26        조재학 기자

풍력발전소 출력제한 작년 15회서 올해 33회로 급증

제1연계선 운영중단에 따른 풍력발전소 추가 가동‧재생E 발전↑

출력저하 우선순위 및 보상 등 재생에너지 관련 제도 정비 필요

풍력발전소 출력제한 작년 15회서 올해 33회로 급증
제1연계선 운영중단에 따른 풍력발전소 추가 가동‧재생E 발전↑
출력저하 우선순위 및 보상 등 재생에너지 관련 제도 정비 필요


강원도 평창군 선자령 일대 풍력발전 모습.ⓒ데일리안DB 강원도 평창군 선자령 일대 풍력발전 모습.ⓒ데일리안DB

올해 제주도에서 운영 중인 풍력발전소 출력제한이 지난해보다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지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제1해저연계선(150MW급)이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노후화로 인한 보수공사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면서 풍력발전소가 추가 가동됐고, 도내 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한 탓이다.

재생에너지 단점인 간헐성(기상조건에 따른 불규칙한 전력생산)으로 인해 전력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 전력계통 보호를 위해 발전소 출력제한이 불가피하다.

19일 전력거래소가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지난 15일 기준) 풍력발전소 출력제한 횟수는 33회로, 지난해(15회)보다 2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 2015년(3회)과 비교하면 11배나 급증했다.

제주도는 10~3월 동안 바람이 많이 불어 풍력 발전량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말까지 출력제한 횟수는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제주도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12.9%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로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정책 목표에 가장 근접한 지역이다. 올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13.8%로 지난해 보다 0.9%포인트 늘어나는 등 증가 추세다.

또 재생에너지 설비비중도 지난해 27.4%에서 올해 31.6%로 4.2%포인트 늘어났다.

‘카본 프리 아일랜드(CFI) 2030 계획’에 따라 제주도는 전력수요를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100%로 대응하기 위해 해상풍력 1895MW(메가와트)를 설치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증가하면서 간헐성으로 인한 출력제한 횟수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해결책 중 하나인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비용부담이 크고, 최근 잇따른 화재로 인해 보급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재생에너지 전력거래를 제한하거나 중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3월 30일 고시한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등의 거래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전기판매사업자(한국전력)는 공급신뢰도 및 전기품질 측면에서 전기판매사업자의 전력계통 및 다른 사람에 대한 전력공급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 등에 한해 전력공급자와 전력거래를 거절할 수 있다.

하지만 과잉공급에 따른 발전소 출력저하 우선순위, 보상 등 관련 제도정비는 부족한 실정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에 따르면 풍력사업자와 워킹그룹에서 사업자별 총 출력제한량을 맞추기 위해 순환제어를 하기로 협약한 수준이다. 간헐성에 따른 발전소 출력저하를 사업자끼리 ‘고통분담’을 하겠다는 것이다.

전영환 홍익대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기 다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제도 변화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어려운 문제이긴 하지만, 출력제한 발전소 우선순위, 보상 등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재학 기자 (2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조재학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