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당원 투표율 45.36%…현 제도 도입 후 역대 최고
2014년 31.7% 훌쩍 뛰어 넘어…"당시에는 집권여당"
"정권교체에 대한 국민 열망이 차기 지도부에 쏠린 것"
누구에게 유리할까…당심 파악 어려움에 속단은 금물
국민의힘 6·11전당대회 최종 당원투표율이 45.36%로 집계됐다. 현재의 선거인단 제도를 도입한 이래 역대 최고 투표율로, 당내 선거에서 좀처럼 얻기 힘든 국민적 관심을 얻었다는 평가다. 단 표심의 향배가 어디로 향할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는 10일 오후 5시 이 같은 최종 투표율을 발표했다. 지난 7~8일 이뤄진 모바일 투표율 36.16%에 모바일·ARS 투표를 합친 수치다.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도 이날 오후 늦게 샘플을 다 채우고 종료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역대 최고 투표율 기록을 유지했던 2014년 전당대회의 31.7%를 훌쩍 뛰어넘은 수치에 당 안팎의 분위기는 고무적이다. 4·7 재보궐선거 승리를 기반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지지율 역전을 이뤄냈고, 당내 선거에서까지 국민적 호응을 이끌어내며 내년 3·9 대선에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임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한 국민의힘 핵심관계자는 통화에서 "2014년 전당대회 당시엔 우리가 집권여당이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어느 정도 유지되던 시기였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전당대회의 투표율은 실로 놀라운 수치"라며 "국민들의 정권교체에 대한 열망이 차기 대선에 임할 야당의 새 지도부에 쏠린 것 아니겠는가"라고 바라봤다.
또 다른 관계자도 "지난 전당대회 때마다 대규모 조직을 동원해 수천 수 만명이 한 데 모여 분위기를 냈는데도, 돌이켜보면 결국 '우물 안 선거'를 치른 셈이었다. 이번엔 방역 문제로 인해 전체 비대면으로 열렸는데도 이 정도의 관심도가 집중된 것은 일종의 사건"이라 평했다.
이 같은 흥행의 원동력에는 전당대회 국면 내내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이준석 돌풍'이 있었다는 평가가 많다.
4·7 재보선 승리 과정에서 엿볼 수 있었던 변화와 쇄신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초선 당대표론'으로 표출됐고, 결국 '0선'이지만 상당한 인지도를 보유했던 이준석 후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흥행을 이끌었다는 해석이다.
단 이처럼 집중된 표심이 고스란히 이준석 후보에 갔을지 여부에는 당 안팎서 여전히 물음표가 나온다.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그간의 여론조사에서 이준석 후보가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하며 선두를 유지했지만, 당심은 각 후보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조직 규모와 지역별 특성을 복합적으로 감안해야 해 정확한 파악이 힘들다는 분석이다.
실제 2~3위권 후보군 캠프에선 이례적인 투표율이 이어지자 이준석 후보에 반감을 느낀 당원들의 몰표가 자신들에게 쏠리고 있다 자신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한 캠프 관계자는 "겉으로 드러나는 여론조사 상의 수치와 실제 당원들을 접했을 때 현장에서 느끼는 분위기에 분명 차이나는 부분이 있다"며 "전당대회 현장에서 수치를 확인해야 알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