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매출액 3127억원…작년 2분기보다 13%↑
한섬은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127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3%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5.9% 늘어난 235억원을 기록했다.
한섬 측은 "온라인 채널의 판매 고성장과 국내 여성 캐릭터 브랜드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출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말했다.
매장 인테리어에 친환경 입힌 한섬…'업사이클 예술 작품' 선보인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전문기업 한섬은 폐기물을 업사이클링해 예술작품으로 탈바꿈시키는 ‘아트업(Art-up) 프로젝트’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업사이클링은 버려지는 제품이나 소재 등에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을 적용해 새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이 프로젝트는 예술(Art)과 업사이클링(Up-cycling)의 앞 단어 ‘업(Up)’을 합성한 신조어로, 아티스트(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수명이 다되어 벌목된 나무나 재고 의류 등 폐기물을 업사이클링 과정을 거쳐 옷걸이, 진열대와 같은 인테리어 집기나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한섬, 부산 해운대에 '더한섬하우스' 오픈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전문기업 한섬은 오는 25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신시가지에 콘셉트 스토어 ‘더한섬하우스(The Handsome Haus)’ 부산점을 오픈한다.더한섬하우스 부산점은 총 4층(지상 1~4층) 규모로, 각 층별 테마에 맞춰 타임·시스템·마인 등 13개 한섬 주요 브랜드의 남녀 의류·액세서리 등 1000여 제품이 혼합 배치해 선보여진다.1층에는 여성 캐릭터(아카이브) 매장이 들어선다. 2층과 3층은 각각 캐주얼(라이브) 매장과 여성 캐릭터 및 남성(어반) 매장으로 꾸며지며, 4층에는 문화 강좌 등이 가능한 VI…
한섬, 시스템·시스템옴므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 기업 한섬은 캐주얼 브랜드 시스템과 시스템 옴므가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1(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1)’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한섬 브랜드가 디자인 관련 국제 공모전에서 수상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1953년 독일 인터내셔널 포럼 주관으로 시작된 iF 디자인 어워드는 ▲제품 ▲패키지 ▲커뮤니케이션 ▲콘셉트 ▲인테리어 ▲건축 ▲서비스디자인 ▲사용자 경험(UX)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 총 9개 부문에서 매…
한섬, 해외시장서 '훨훨'…1분기 홀세일 매출 60%↑
상담·계약방식 온라인으로 전환 큰 덕"올해도 작년보다 30% 이상 늘어날 듯"
한섬, 1분기 영업이익 452억원…전년比 55%↑
현대백화점 그룹 계열 패션기업 한섬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45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4.4% 증가한 수치다.같은 기간 매출액은 22.8% 증가한 3333억원을 시현했다. 당기순이익은 325억원으로 50.6% 늘었다.
박수영 "그래도 이재명은 안된다…진짜 심판 이제부터"
[속보]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김새론, 49재에도 '잡음 계속'…2017년작 '리얼', 8년 만에 OTT 역주행
"유흥주점 왜 갔어요" 날선 질문에 대답이…정준호, 전주영화제 기자회견서 무슨 일?
'女 폭행논란' 밴드 잔나비 출신 윤결, 尹 탄핵 인용 후 "X 같은 날"
'12만 유튜버' 김웅서 사인 둘러싼 의혹…동거녀는 왜 유서를 삭제했나?
실시간 랭킹 더보기
경제 많이 본 기사 더보기
양경미의 영화로 보는 세상
위안과 치유를 선사하는 힐링 드라마
손기웅의 가야만 하는 길
김정은 관심법으로 엿보기
서진형의 부동산포커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지역 재지정에 대한 논란 살펴보면
지방 미분양 ‘시한폭탄’이 다가온다 [기자수첩-부동산]
한국 코인法, 미국 눈치 보다 日에도 뒤처질 판[기자수첩-ICT]
5년 만에 공매도 전면 재개, 우려보다 환영의 시선으로 [기자수첩-증권]
· 尹 탄핵심판 선고 '촉각'…이재명 테마주, 일제히 급등
· 한국피아이엠, 코스닥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72%↑
· 반도체주 '울상'…삼성전자·SK하이닉스 2%대 하락
· 에이유브랜즈, 코스닥 상장 첫날 52% 강세
· 트럼프 관세 폭탄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 4% 강세,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