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해수부, 해양폐기물 고부가가치 재활용 기반 마련


입력 2022.12.12 11:00 수정 2022.12.12 11:00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해양폐기물관리위원회, 재활용 활성화 대책 발표

재활용 제품 공적 인증제 도입 및 기술창업 지원

해양수산부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조승환 해수부 장관 주재로 해양폐기물관리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해양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대책을 심의하고, 제7차 국제 해양폐기물 콘퍼런스 개최 결과와 유엔 플라스틱 국제협약 대응 동향‘에 대한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해양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대책은 국내‧외 재활용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 움직임에 발맞춰, 정부에서 해양폐기물의 수집·운반·집하·재활용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선해 고부가가치 물질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 수립됐다.


이번 대책은 어구관리 강화·안정적인 재활용 원료 공급체계 구축·재활용 참여기업 지원·민관연 협의체 구성·운영 등 4대 전략, 11개 추진과제로 구성돼 있다.


2024년까지 해양폐기물 전처리부터 중간원료생산, 최종 재활용 소재 생산 및 수요처 공급까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원료공급체계를 갖추고 2027년까지 해양폐기물 수거량의 20% 이상을 물질 재활용(화학적·열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국내 대기업은 물론 해외 유명 브랜드에서는 친환경 ESG경영을 위해 해양폐기물 업사이클링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재활용한 운동화·가방·시계·핸드폰 등을 출시하고 있다.


페어망 재활용 원사 활용 운동화 제품 ⓒ해수부(출처, 아디다스)
폐어망 재생 플라스틱 활용 시계 ⓒ해수부(출처, 율리스 나르덴)

이번 대책은 이 같은 트렌드에 주목해 재활용 기업에 고품질 해양폐기물 원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양폐기물 수거·운반·집하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대표적으로 선박에서 발생하는 상당량의 플라스틱 생수병을 재활용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기존에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생수병을 항만 쓰레기로 처리했으나,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이를 선별적으로 수거해 브랜드 의류 제작에 재활용하고 있으며, 이번 활성화 대책을 통해 전 항만으로 확대·적용한다.


이와 함께 어선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생수병을 다시 가져와서 재활용하는 ’우생순 운동(우리 생수병 되가져와 자원으로 순환해요, 해양경찰청)‘을 어업인들에게 홍보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또한 해수부·해군·해경 등 공공기관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로프와 단속을 통해 압수한 불법 어구를 일괄 수거, 재활용을 추진한다.


아울러 염분이 많은 해양폐기물이 좀 더 손쉽게 재활용될 수 있도록 전처리 관련 규제 완화 및 전처리·재활용 기업 육성방안 마련 등도 추진된다.


해양폐기물 전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직방류수의 수질기준을 새롭게 마련해 규제를 개선하고, 해양폐기물 처분을 위한 입찰공고 시 재활용 참여업체에 가점이 부여된다.


해양폐기물 재활용 제품에 대한 공적 인증제를 도입하고 재활용제품에 대한 공동브랜드 개발, 환경산단 입주우대, 기술창업 지원사업을 통한 지원제도 등도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해수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양폐기물 재활용 상품 전시회도 개최한다. 전시회에는 해양폐기물을 세척·절단 후 1차 가공한 플라스틱 재생원료와 이를 활용해 생산된 원사·의류·패션 소품은 물론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 관련 물품까지 다양하게 전시될 예정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해양폐기물 수거·처리 중심에서 나아가 고부가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관리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양폐기물 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관계기관 협력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