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 주재
"퀀텀, 기회·도전 동시… 윤리 규범 필요"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퀀텀 과학과 기술의 역량이 집중돼서 창의적인 시너지가 나올 수 있도록 퀀텀 연구자들의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퀀텀코리아 2023'을 계기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플랫폼을 통해서 기술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경제적 가치를 넘어서 많은 다양한 부가적 가치가 창출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R&D 투자, 인력 양성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또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퀀텀 컴퓨팅 시스템과 퀀텀 통신 센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지난 1월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에서 양자 과학자들과 대화를 하고 대한민국 양자과학 기술의 원년을 선포했다"며 "2035년이 지나면 퀀텀 경제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많은 분들이 합리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퀀텀 기술은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안겨준다. AI(인공지능)와 마찬가지로 많은 윤리적 고민을 하게 된다"며 "지난주 프랑스 파리에서 디지털 윤리 원칙과 규범 정립의 필요성을 얘기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퀀텀 역시 윤리 규범이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
이날 대화에는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존 클라우저 박사, '울프상'과 '브레이크쓰루상'을 수상한 찰스 베넷 박사, 양자컴퓨터의 정확도와 신뢰성 검증 방법을 개발한 최순원 MIT 교수 등 석학 7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 각 대학에서 양자과학기술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20명과 젊은 연구자 7명도 함께했다.
윤 대통령은 대화 종료 후 행사 참석자들과 함께 행사장에 전시되어 있는 양자컴퓨터 모형, 양자센서를 활용한 뇌자도 측정장비 등을 둘러보며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