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한미, APEC서 '밀당 전략'으로 中 설득전 돌입


입력 2023.11.13 14:56 수정 2023.11.13 14:59        남가희 기자 (hnamee@dailian.co.kr)

15일 미·중 정상회담서 북러 문제 다룰 듯

尹, APEC 정상회의 참석…한·중 회담 가능성

韓, 美와 '밀착 공조'로 중국 포섭 들어갈 듯

尹, 미국 주도 IPEF도 참석…'견제술' 활용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14일(현지시간) 발리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 뉴시스

21개 회원국의 정상이 참석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가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막을 올렸다. 이번 APEC 회의의 최대 관심사는 15일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인데, 한미 양국은 북·러 무기거래 등 복잡해진 국제 정세 속에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해진 만큼 '밀당 전략'으로 중국 설득에 돌입할 것으로 관측된다.


APEC 회의는 21개 회원국의 고위 관료가 참여하는 첫 최종고위관리회의(CSOM)를 시작으로 17일까지 일주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CSOM은 각국의 관료가 그동안 준비한 안건을 점검하는 회의다. APEC 회의의 하이라이트인 정상회의는 15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다.


한미, '중국 역할론' 띄우며 중국 '당기기'


한미 양국의 이번 회의 과제는 단연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다. 최근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적으로 밀착하고 있고, 여기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8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정상회담 개막식에 직접 참석하는 등 중국을 향한 적극적 구애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중국의 행보를 두고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과 미국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꾀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한미는 '중국 역할론'을 띄우며 중국 포섭에 들어갔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9일 한국을 방문해 박진 외교부 장관을 만났다. 블링컨 장관은 이 자리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난 사실을 언급하며 "중국이 북한과 독특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영향력이 있고, 그래서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해줄 것을 강조했다"며 이런 위험한 행동에서 북한이 발을 빼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했다.


박 장관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의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동북아에서 러북 간 군사협력으로 긴장이 고조되면 중국의 국익에도 도움이 안 된다"며 "중국이 그러한 주변국의 우려와 국제사회의 우려를 감안해서 (북러 간) 위험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도록 역할을 하도록 한미가 함께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APEC 회의에서는 1년 만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이 나란히 한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 자리에서 미국과 중국 양국은 △ 대북 문제 △ 대만 문제 △ 중동 전쟁 △ 우크라이나 전쟁 △ 대중 기술 수출 금지 △ 군사 소통 채널 부활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APEC 정상회의에는 윤석열 대통령도 참석할 계획인데, 미·중 정상회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면 한중 관계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APEC 계기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시 주석의 정상회담, 나아가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 가능성까지 나오는 만큼 향후 한일중 정상회의 추진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윤 대통령, 중국 견제 IPEF 회의 참석…'밀기' 전략 공조


동시에 한미 양국은 중국에 대한 '견제술'도 적절히 활용할 전망이다.


미국은 오는 16일 APEC 기간 동안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정상회의도 개최한다. 윤 대통령도 IPEF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IPEF는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 추진하는 경제 협의체로 지난 5월 바이든 대통령 주도로 출범했다. IPEF는 중국이 주도한 RCEP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대중 견제를 위한 장치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IPEF 참여국들은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협상을 진행해 무역,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 경제 등 분야 쟁점에 대한 합의점을 모색해 왔다. 지난 5월에는 공급망과 관련한 협상이 타결되기도 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정상 간 그동안 협상 성과를 논의하고, 향후 협력 계획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남가희 기자 (hnam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