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물가 상승 이어 채소 가격도 폭등
일부 자영업자 사재기 조짐까지 나타나
메뉴에서 빼거나 대체재 찾기 등 고심
과일 물가 상승에 이어 최근에는 채소 가격도 덩달아 널뛰며 외식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여러 요리에 두루 쓰이는 양배추 가격이 폭등하면서 자영업자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 자영업자들 사이에선 양배추 사재기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을 정도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양배추 1포기 소매가는 5409원으로 전주(3월25일, 3935원)보다 37.4%, 전월(3820원)보다 41.6% 올랐다.
양배추 가격은 최근 전국에 호우가 쏟아지며 폭등하기 시작했다. 지난달 27일 4159원이던 양배추 1포기는 하루 만에 13.3%, 이틀 만에 27.4% 상승했다. 양배추 도매가는 8㎏에 1만4920원으로 전월(8224원)보다 81.4%, 전년(7443원)대비 100.5% 올랐다.
주산지로 꼽히는 제주 서부지역에서 지속된 호우로 품질이 좋지 않은 양배추가 지속적으로 생산되면서 가격이 치솟은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최근 호우로 육지로 반입이 어려웠던 점도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꼽힌다. 그나마 출하된 양배추에서서는 병충해나 갈변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외식업계는 급상승한 양배추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양배추는 중식당과 한식당은 물론 많은 식당에서 쓰는 식재료다. 특히 양배추를 필수로 사용해야 하는 식당일수록 부담이 크고, 소규모 식당일수록 하루하루 구매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걱정이 큰 상황이다.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점주나 자영업자들은 하루빨리 양배추 수급이 정상화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찾아오는 고객들에게 관련 메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찾아오던 발길이 끊어질까 하는 두려움도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시적으로 음식 값을 올린 업주들도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가격 경쟁력을 위해 다른 대안을 고민하는 경우도 있다. 아예 제공되는 음식에서 양배추를 빼거나 줄이는 자영업자도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서울에서 샐러드 가게를 운영하는 A씨(30대)는 “기존에 사용하던 드레싱에는 양배추가 가장 잘 어울리지만,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다 보니 원래 레시피대로 팔면 남는 게 없어 최근 대체재를 고민 중에 있다”며 “물가가 잡힐 때까지는 바뀐 레시피대로 장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양배추 뿐만 아니라 양파, 당근 등과 같이 요리에 필수적인 기본 채소의 가격이 너무 올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당근 평균 소매가격은 1㎏당 4710원으로 1개월 전(4133원)보다 14% 올랐다.
이에 최근 정부는 양배추 납품단가 지원액을 포기당 500원에서 1000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달 10일까지 최대 30% 할인을 지원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격이 상승하는 품목을 대상으로 탄력적으로 납품단가, 할인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라며 “4월부터는 일조 증가 등 기상여건이 개선되고 물가 안정 대책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 농축산물 물가 상황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