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타개하기 위해 법원의 강제조정 재 추진, 정상화 모색하는 방안 신중히 검토해야”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호텔(E4호텔)의 분쟁이 장기화 되면서 인천도시공사(iH)의 재정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소송 문제를 놓고 인천시와 iH 간 갈등의 골이 깊어져 법원의 강제조정을 재 추진해 정상화를 모색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역사회의 여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iH는 소송이 장기화되면 호텔 이용객 등 시민들의 불편은 물론 호텔이 위치한 송도국제도시 이미지에도 상당한 훼손이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인천도시공사(iH)는 E4호텔 소송 논란과 관련, 현재 인천시의 특정감사 지시로 수사의뢰를 준비하기 위해 고발 사례를 검토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그러나 수사가 시작되거나, 소송으로 이어져 상황이 길어질 경우 iH는 재정 운용에 치명적인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소송이 언제 끝날지 예측이 안되는 상황에서 공사 대금과 지연손실금은 물론, 이에 따른 이자만 해도 상상을 초월할 만큼 큰 액수여서 재정에 심각한 타격이 커지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7월 인천지방법원은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강제조정)을 통해 iH는 공사대금 409억원과 지연손실금 272억원을 지난 8월 7일까지 호텔 시공사와 운영자에게 지급하라고 결정했다.
지급하지 않을 경우 처리 기한 이후 매일 발생하는 1340만원 상당의 지연손실금 이자를 지불해야 한다.
이에 따라 지연손실금에 대한 이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3년 258억원, 5년 356억, 10년 601억원으로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공사 대금까지 포함하면 적게는 수백억원, 많게는 1000억원이 넘을 수 있는 엄청난 액수를 감당해야 한다.
또 건물방치 황폐화, 철거 비용, 사업자 지위 말소 등으로 인한 가치 하락 등 여러모로 iH에 피해가 속출 할 수 있다.
여기 에다 호텔 영업 중단 시 예식, MICE 행사, 호텔 운용 등 시민 불편이 초래되고 호텔 종사자 실직도 최소 130명 이상이 발생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호텔 철거, 유령건물, 강제집행 등의 훼손으로 송도국제도시 이미지 훼손 등 사회적 불이익이 발생된다.
iH는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법원의 강제조정을 재 추진해 정상화를 모색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게 지역사회의 여론이다.
앞서 iH는 경영회의에서 통과한 법원의 강제조정 결정 수용이 이사회에서 최종 부결 처리돼 결국 소송 상대와 협의한 호텔 정상화는 수포로 돌아간 바 있다.
호텔 소송과 관련, 인천시와 iH간 감정 싸움으로 까지 비화 되면서 시정을 이끌고 있는 시장이 나서서 이 문제를 풀어야 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역사회의 의견도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지역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인천시와 iH 간 대립 양상이 상황이 갈수록 커지고 호텔 소송 문제가 장기화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이 시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앞으로 진행될 선거에도 악영향을 미칠지 않는다고 누가 보장하겠냐”라고 강조했다.
iH는 인천시의 수사의뢰 지시, 소송 분쟁 등이 장기화 되면 인천시와 iH 관련 고위직 인사들이 결국 자리를 내놔야 할 상황까지 벌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인천시 한 관계자는 “E4 호텔 사태의 주 원인은 인천시와 iH 고위직급 간 갈등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면서 “시와 iH간 갈등으로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사태를 막는 지혜로운 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