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부영그룹, 출산 직원들에 28억 쐈다…“출생률 1.5명 달성까지 1억원씩”


입력 2025.02.05 14:48 수정 2025.02.05 22:19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자녀 1명당 1억원…올해까지 누적 98억원 지급

10월 24일,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제안

이중근 “기업들의 출산 지원 나비효과 기대…6·25 참전 유엔군 고마움 잊지 말아야”

부영그룹은 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부영태평빌딩에서 ‘2025년 시무식’을 개최해 자녀를 출산한 직원들에게 출산 장려금을 수여했다.ⓒ데일리안 임정희 기자

부영그룹이 2년 연속 자녀를 출산한 직원들에게 출산 장려금 1억원을 쾌척했다.


지난 2021~2023년 출산한 직원 70명에 이어 올해 28명이 출산 장려금을 받으며 누적 98억원이 지급됐다.


부영그룹은 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부영태평빌딩에서 ‘2025년 시무식’을 개최해 자녀를 출산한 직원들에게 출산 장려금을 수여했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대한민국의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경제생산인구수 감소, 국가안전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한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 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마중물이 되어 국채보상운동과 금 모으기 캠페인처럼 앞으로도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영그룹은 출산 장려금 등 다양한 복지 제도에 대한 논의가 다른 기업들에게도 확산되면서 저출생 해소를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부영그룹의 경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의 아이가 태어났는데 지난해에는 28명이 태어나 출산 장려금 혜택을 받는 직원들이 늘어나는 등 사내 출산율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이 회장은 국가 합계 출산율이 1.5명에 도달할 때까지 출산 장려금을 꾸준히 지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회장은 “국가가 이만하면 됐다고 할 때까지는 지급하겠다”며 “출생률을 높이면 국가의 동량으로 자랄 수 있으니 국가에 큰 보탬이 되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출산 장려금을 1억원으로 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 1억원이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을 모았고 그렇게 시행했다”며 “직원들이 자식을 낳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고 고맙다는 표현도 많이 받았다”고 했다.


저출생뿐 아니라 급격하게 늘고 있는 노인 인구에 대해서도 노인 연령을 현재 만65세에서 만75세로 단계적인 상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부영그룹 차원에서도 정년을 늘리는 데 앞장서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나이가 들어도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며 “근로를 희망하거나 유능한 직원들은 정년 이후에도 근무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을 제안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역할을 되돌아보고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와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국제연합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로 지정돼 기념했으나 북한이 1975년까지 유엔 산하의 여러 기구에 공식적으로 가입하게 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을 폐지한 바 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16개국 전투지원, 6개국 의료지원, 38개국 물자지원)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고, 그 희생 위에 대한민국이 존재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방예의지국의 면모를 갖춰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시대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 회장은 주거복지 차원에서 국내에 공급되는 주택의 30%를 영구임대주택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회장은 “공공에서 2~3%를 빼고는 모두 분양 대기주택이다. 이 주택들은 모두 분양주택으로 봐야한다”며 “외국은 20~30%를 영구 임대주택으로 가지고 있다. 집을 소유하지 않을 사람은 쫓겨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고 주거로써 기능을 다한다면 소유할 사람만 주택을 사면 된다”고 했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