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1만원 돌파에 각종 비용 부담 커지며 단기 알바 선호
외식업계서 주휴수당 폐지 목소리 높아져
최근 수년간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초단시간 근로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외식, 편의점 등 단기 알바 수요가 많은 업종의 비중이 높은 편인데, 그만큼 인력관리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외식업계를 중심으로 하소연이 터져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일주일에 15시간 미만 일한 ‘초단시간 근로자’는 지난해 174만2000명에 달했다. 전년도인 2023년에 비해 14만2000명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초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 것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크다.
고용주 입장에서는 단순히 시급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주휴수당과 국민연금, 퇴직금, 연차 등 관련 비용까지 신경써야 해서다.
때문에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하루 2~4시간씩 일주일에 총 15시간 미만 근무하는 등 단기 알바 형태로 고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주휴수당까지 포함하면 고용주 입장에서는 시급 기준 1만2000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
가파르게 상승한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쪼개기 고용을 늘렸지만 그만큼 관리해야 할 인력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심야 시간대 영업을 하는 식당, 편의점이나 아침 일찍 문을 여는 커피전문점 등 외식업종에서 체감도가 높은 편이다.
서울 마포구에서 커피전문점을 운영하는 A씨는 “요즘 풀타임 근무자를 구하기도 어렵지만 비용절감 차원에서도 하루 4시간씩 근무하는 파트 타임 근무자를 쓰고 있다”면서도 “손님이 몰리는 아침 출근시간에는 사람 구하기가 힘들어 가족들과 돌아가면서 근무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대형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 B씨는 “풀 타임 근무자 대신 파트 타임 근무자를 늘리면서 매장 인력이 3배 가까이 늘었다”면서 “비용은 일부 줄었지만 들고 나가는 근무자가 많아 이전에 비해 업무강도는 훨씬 높아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3월 초 대학교 방학이 끝나면 다시 구인난이 심해질 것 같다”면서 “풀 타임 근무자를 찾고 있지만 조건에 맞는 근무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인건비 지출 증가와 인력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외식업계에서는 쪼개기 고용의 원인이 되는 주휴수당을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앞서 자영업자 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7일 서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권기섭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주휴수당 폐지 등을 건의했다.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최저임금이 가파르게 올랐지만 구인난은 오히려 더 심해졌다”면서 “최저임금이 오르면 단순히 시급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각종 부대비용 부담도 더 커진다. 소비침체로 매출은 줄어드는데 비용은 높아지면서 수익성 악화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