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OTRA, 30억명 중국·인도 소비시장 진출전략 제시…26일 설명회 개최


입력 2025.02.25 11:00 수정 2025.02.25 11:01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현지 성공 소비재 기업 직접 연사로 나서 경험·노하우 공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전경.ⓒ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정부에서 발표한 2월 범부처 수출 비상대책에 따라 우리기업의 수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26일 '30억 인구 소비시장, 중국·인도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 비교적 유연하게 접근 가능한 소비재를 주제로 세계 2위 소비시장인 중국과 세계 1위 인구 대국인 인도 시장 진출전략을 소개한다.


본격적인 진출전략 발표에 앞서 KOTRA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발표된 관세 조치 등 최근 통상환경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 '미국 통상정책 관련 관세 대응 119' 등 기업 지원사업을 소개한 뒤 우리 기업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마련된 중국·인도 소비시장 설명회를 이어간다.


연사로는 중국·인도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우리 대·중소기업들이 나선다. 중국은 ▲티움글로벌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인도는 ▲슈피겐코리아 ▲롯데웰푸드가 생생한 진출 경험을 공유하며 신규 진출기업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노하우를 전수한다.


합산 인구 약 30억 명에 달하는 중국과 인도는 닮은 꼴 다른 소비시장으로 현지에 맞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은 연령·성별 등 계층별 소비패턴이 세분됐다. 특히 Z세대, 싱글 인구가 새로운 소비 문화를 형성하는 주체로 떠올랐다.


따라서 계층별 소비 성향을 정조준해 라이브커머스, 테마형 편집숍, 창고형 마트 등 신유통채널을 폭넓게 활용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인도는 거대 내수시장 형성 단계로 ▲중산층 확대에 따른 '테크소비' ▲도시화 확대에 따른 '편리소비' ▲성분까지 확인하는 '웰빙소비'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 결제를 활용한 온라인쇼핑도 활성화되고 있어 현지 맞춤형 제품 출시를 바탕으로 온라인 유통망 입점을 활용해 제품 판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글로벌 교역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시장과 품목 다변화가 절실한 시기"라며 "이번 설명회가 우리 기업의 중국 및 인도 소비재 시장 진출을 위한 풍향계 역할을 하길 바라며 두 시장에 맞춘 소비재 사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OTRA는 올해 우리 기업의 중국과 인도 소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사업을 추진한다. KOTRA 상하이무역관에서는 '한류상품 쇼케이스'를, 광저우무역관에서는 '하이난 면세점 입점을 위한 핀포인트 상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인도의 한류 인기에 따른 K-소비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 화장품·식품 유통망 입점 지원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