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072년 65세 노인 ‘47.7%’···노인 빈곤율도 40% 육박


입력 2025.03.25 12:04 수정 2025.03.25 16:55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통계청, 2024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

노인 인구 비중 19.2%→47.7% 전망

빈곤율도 증가하고 있어 대책 시급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에서 노인들이 무료 배식을 받기 위해 줄지어 서 있는 모습.ⓒ뉴시스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중이 오는 2072년 47.7%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대수명 역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66세 이상 노인 빈곤율마저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24년 총인구는 5175만명, 2072년 총인구는 3622만명으로 전망된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0~14세는 549만명(10.6%), 15~64세는 3633만명(70.2%), 65세 이상은 994만명(19.2%)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72년 1727만명(47.7%)으로 예측된다.


기대수명 역시 다시 늘었다. 2023년 기대수명은 전년(82.7년)보다 0.8년 증가한 83.5년으로 나타났다. 기대수명은 2000년(76.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 2022년(82.7년) 처음 감소한 후 다시 증가했다.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 차이는 감소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년과 동일한 격차인 5.8년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5위다.


통계청은 “이번 자료에서는 65세 인구 비중과 출생 현황 증가가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66세 이상 은퇴연령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현황 2025’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66세 이상 은퇴연령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39.8%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OECD 국가와 비교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일각에서는 노인 빈곤율 해소를 위해 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고령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승희 부연구위원은 ‘노인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덜 빈곤한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층에 포함됨에 따라 노인빈곤율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세대 간 빈곤율 차이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이로 인한 사회제도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기초연금은 노인빈곤 완화를 위해 경제성장과 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한 고령층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사람들이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보수와 진보(77.5%), 빈곤층과 중상층(74.8%), 근로자와 고용주(66.4%) 순으로 나타났다.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