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모처에서 LG CNS·엔솔 대표와 회동
AI 에이전트·데이터센터·인도 시장 협력 논의
LG전자가 MS(마이크로소프트)사와 손잡고 AI(인공지능) 기반 미래 사업 전략을 본격화한다. 양사 최고경영진 간의 만남을 통해 향후 데이터센터, 스마트홈 등을 둘러싼 다양한 AI 협력과 기술 동맹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26일 방한 중인 사티아 나델라 MS 회장과 서울 모처에서 회동한 직후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AI가 모든 산업에 혁명을 일으키는 시대에 미래를 함께 헤쳐 갈 파트너십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 사장은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현신균 LG CNS 대표와 함께 나델라 MS CEO를 만났다는 사실을 사진을 통해 공개했다. 그러면서 "LG전자는 MS사와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에 대한 진행 상황 업데이트, 데이터 센터 협업, 인도 시장에 관한 미래 전략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먼저 스마트 홈에서 쓰는 AI 에이전트 생태계에 관해 협력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사장은 "LG전자는 MS의 애저 오픈AI와 빙 검색을 적용한 'LG Q9 이동형 홈 허브'를 소개했다"며 "이 파트너십을 통해 AI가 일상에 원활하게 통합되는 것에 가까이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사는 데이터센터 영역에서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LG전자의 냉각 솔루션을 MS 글로벌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기 위한 합의가 이뤄진 상태다. 나아가 그룹 차원의 협력 방안도 검토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LG CNS의 빌딩 에너지 관리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 인도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것도 주요 의제 중 하나로 거론된 것으로 보인다. 조 사장은 "인도의 확장 인프라와 뛰어난 R&D 인재를 활용해 AI를 포함한 미래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 MS사의 잠재적인 협업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조 사장은 MS사의 창립 50주년을 축하하는 차원에서 LG전자의 최초 가전 제품인 라디오 'A-501' 모형을 나델라 CEO에게 전달했다. 해당 제품은 한국 최초 국산 라디오로 현재 등록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