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전국 1.3만 가구로 전월대비 48%↓…경기 침체 장기화
내년부터 공급 위축 현실화…공사비 급등에 주택사업 ‘난항’
신축 아파트 품귀…집값 상승 및 임대차 시장 불안 등 우려↑
4월 입주물량이 3월에 비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대내외 시장 불확실성과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서다. 공급 부족 우려가 점차 가시화하면서 신축 아파트에 대한 희소가치도 부각될 가능성이 커졌다.
28일 직방에 따르면 내달 전국 입주물량은 1만3814가구로 3월 2만6337가구에 비해 48%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지방 모두 동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이달 1만4590가구에서 72% 대폭 쪼그라든 4067가구 입주 예정으로 지방은 같은 기간 1만1747가구에서 9747가구로 축소된다.
수도권에선 경기 지역의 입주 물량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총 1517가구가 공급될 예정으로 이는 지난 2017년 3월(1346가구)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서울에선 407가구가 집들이를 앞두고 있다. 이를 포함해 올해 서울에선 총 3만7681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문제는 내년부터 입주 물량이 대폭 줄어 공급 감소에 따른 주택시장 불안이 점차 현실화할 거란 점이다. 오는 2026년 서울의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9640가구, 2027년에는 9573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입주물량의 25% 수준이다.
해마다 주택 공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 이유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 사업을 비롯한 주택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어서다.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공사비 부담이 커지면서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을 빚는 곳들이 늘면서 사업이 지체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건설공사비 지수는 1년 전 대비 15.1% 오른 119.77을 기록했다. 지수는 2023년 127.16에서 지난해 129.77, 올해 130.99로 상승 흐름을 유지 중이다.
정부는 각종 정비 사업 인허가 단축과 적정 공사비 책정 등 정책 지원을 비롯해 1~3기 신도시 개발, 공공주택 확대 등 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이렇다 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 문제와 지방 미분양 적체, 경기 불확실성 등이 맞물려 매수 심리도 위축된 만큼 건설사들이 정부 정책만 보고 신규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긴 한계가 있어서다.
업계에선 주택 공급 감소에 따른 시장 불안과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품귀 현상이 짙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실 랩장은 “공급 감소는 주로 물량 부담이 컸던 수도권 외곽과 지방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단기적인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전체적인 공급 감소로 신축 물량의 희소성이 커지면서 주택 가격 상승과 임차 시장 불안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공급 축소에 대한 불안이 업계 곳곳에서도 제기되는 만큼 정부가 주택 공급 기반 강화를 위한 후속 세부 방안을 얼마나 신속하게 제시할 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