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국 의존도 높아질 전망…美해군 MRO 사업 수주 주목
LNG 수출 힘 싣는 미국 에너지 정책도 국내 조선사에 호재
"우호적인 업황과 미국의 대중 견제, MRO 수주 등 조선주 추가 상승 여력 높아"
"IMO 환경규제 충족과 동시에 노후선박 교체 수요 점진적으로 확대될 전망"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드라이브를 건 관세전쟁의 여파로 증시 변동성이 요동치고 있지만 업황 사이클 등을 고려할 때 잠재력이 높은 종목들도 적지 않다.
특히 조선 분야의 경우, 미국의 한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노후선 교체도 예정돼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 조선주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선박 분야 협력'을 콕 집어 언급한 이후 상승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물론 급격한 상승 여파로 벨류에이션 압력이 가해지는 등 조정 국면을 맞았지만, 내달 미국의 관세 관련 정책이 매듭지어지면 반등 여지가 충분하다는 관측이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중국을 억지하겠다는 구상을 가진 미국 입장에선 해양 전력 강화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고, 태평양 너머에 자리한 미국의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면 역내 탄력적인 유지·보수·정비(MRO)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키를 쥔 미국 에너지 정책도 국내 조선업계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기후 위기를 강조하며 재생에너지 등에 관심을 뒀던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을 구체화하며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 인도 등 세계 각국은 물론 우리나라 역시 미국산 LNG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는 만큼, 향후 LNG 수송선 발주가 늘어날 수 있다. 국내 조선 3사는 지난해 전 세계 LNG 수송선 15척에 대한 발주를 싹쓸이했다.
이지니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조선주 급등에 따른 단기 등락은 불가피하다"면서도 "우호적인 업황에 따른 실적 개선과 미국의 대중 견제, 미국 군함 MRO 수주라는 새로운 활로 개척으로 국내 조선업체들의 주가는 여전히 추가 상승 여력이 높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국제해사기구(IMO)의 친환경 규제 강화와 맞물린 노후선박 교체 수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트럼프 대통령 귀환으로 규제 강화 속도가 지체될 수는 있겠지만 점진적 규제 강화 흐름까지 뒤엎진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IMO의 환경규제 충족과 동시에 노후선박 교체 수요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라며 "25~30년 주기의 선박 교체 사이클은 좀 더 앞당겨질 수밖에 없다. 잠재적인 대규모 선박 발주 트리거는 항상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글로벌 해운·조선 전문조사기관인 클락슨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으로 운항 가능한 선대 중 선박 연령이 15년 이상, 20년 이상 된 노후 선박 비중은 각각 36.7%, 11.1%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