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이하 지원자들만 참여할 수 있는 걸그룹 육성 오디션 프로그램을 기획한 ‘언더피프틴’ 제작진이 ‘아동 성 상품화’를 우려하는 예비 시청자들을 향해 “억울하다”고 항변했다. 케이팝(K-POP)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긍정적인’ 의도를 강조하며 “우리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니”라고 호소했지만, 시청자들은 여전히 ‘언더피프틴’을 받아들이기 힘든 모양새다.
나이를 뚫는 실력과 끼를 장착한 5세대 걸그룹을 육성하는 오디션 프로그램 ‘언더피프틴’은 프로그램명 그대로, 15세 이하의 지원자들만 지원할 수 있다. 당초 MBN에서 31일 방영되기로 했지만 예비 시청자, 시민단체 등의 항의가 쏟아지며 결국 방송이 무산됐다.
제작진은 “고심과 회의 끝에 현재 예정됐던 방송 일정을 취소하고 출연자 보호와 재정비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결정했다”며 “앞으로 프로그램 본질과 참가자들의 진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제작하겠다”고 재정비 끝에 다시 돌아오겠다고 예고했다.
제작진은 ‘언더피프틴’을 향한 비난이 확산되자 긴급 보고회를 열며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호소했다. 25분 분량의 방송분을 공개하며 지원자들의 진심을 강조했으며, 다소 자극적인 모습이 담긴 티저 영상 또한 “반전을 통해 지원자들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섹시 콘셉트’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프로필 사진 하단에 위치한 바코드를 통해 아이들을 노골적으로 상품 취급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학생증 콘셉트라 그랬던 것”이라며 디자이너와 콘셉트에 대해 나눈 대화 메시지까지 공개했다.
제작사 크레아 스튜디오의 서혜진 대표는 “해당 프로필을 디자인한 디자이너는 여성”이라며 “편집 등 대다수의 스태프들이 여성들로 구성돼 있다. 이 같은 비난은 그들의 성인지 감수성을 무시하는 일”이라고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우리는 성착취물을 제작하는 제작진이 아니”라고 강하게 항변하며 ‘언더피프틴’을 향해 쏟아지는 비난에 억울함을 내비쳤다.
다만 제작진, 그리고 지원자들의 진심과는 별개로 ‘언더피프틴’이 케이팝 산업, 나아가 방송 산업에서 어떤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아이돌 그룹 멤버들의 나이대가 점점 어려지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이 이어지고 있으며, 혹독한 다이어트를 강요받거나 성희롱에 노출되는 아이돌 산업의 그림자가 해소되지 않은 현재. 방송이 앞서서 아이들을 이 같은 환경에 놓이게 하는 건 옳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치열한 경쟁보다는 지원자들의 진심, 열정, 실력을 보여주는데 방점을 찍더라도, 시청자들이 쏟아내는 악플 또는 적나라한 평가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도 큰 우려점 중 하나다. 방송을 공들여 만드는 것 외에, 미성년자 출연자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아직까지는 조성되지 못했다는 것.
제작진의 높은 성인지 감수성을 강조했지만, 결국 ‘언더피프틴’은 지금 이 시기, 대중들이 원하는 감수성을 따라잡지는 못한 셈이다. 대중들의 감수성에 발맞추지 못한 프로그램이 방송 후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까. ‘언더피프틴’이 재단장 후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