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울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파견한 ‘대조1구역’ 공사비 갈등 봉합


입력 2025.04.01 06:00 수정 2025.04.01 06:00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코디네이터 파견 1년 만에…공사비 2566억원 증액 합의

조합원과 집행부 사이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겪어온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이 정상화될 전망이다. 대조1구역은 지난해 초 공사가 중단됐다 하반기 재개된 바 있다.ⓒ데일리안 임정희 기자

조합원과 집행부 사이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겪어온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이 정상화될 전망이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와 은평구의 적극적인 조정 및 중재로 대조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의 갈등이 봉합됐다.


지난달 29일 조합과 시공자는 공사비를 2566억원 증액하기로 합의하고 이에 대한 의결을 끝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2~5명 규모의 전문가 집단을 파견하는 제도다.


현장에 파견된 코디네이터들은 원활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비롯해 찾아가는 현장상담소 운영을 통한 사업절차 안내, 법률 상담 등을 진행한다. 이외에도 이번 사례와 같이 갈등이나 정체 요인에 대한 조정과 중재 역할을 한다.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자가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원, 공사중단·공기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변동 등으로 1995억원 등 총 3771억원을 증액 요구하며 일반분양 및 준공 지연 등이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월 5일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시·구·조합·시공자가 참여하는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했고 그 결과 조합의 적극적인 노력과 시공자의 양보로 합의안이 마련됐다.


한편, 서울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지난해 총 15개 정비지역에 파견했다. 그 결과 지난해 8월 미아3·안암2구역과 12월 역촌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3월 말 대조 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에 대한 협의안을 이끌어 냈다.


역촌1구역 단독주택 재건축사업은 시공자가 착공지연 손해배상금·공사비 미수금 지연이자 344억원, 공기연장·선튑 간접비 등으로 45억원, 총 389억원을 증액한 데 이어 공사비 협의 지연에 따른 소송을 제기하며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지난해 8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했고 이후 코디네이터, 서울시, 은평구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총 9차례 조정 및 중재회의를 개최해 같은 해 12월 28일 공사비 증액 160억원에 대한 총회 의결을 완료했다.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은 물가상승, 설계변경, 추가 공사 등에 따른 2585억원 증액 요구로 공사 지연이 발생하자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시·자치구와 혀븨체를 구성하고 6차례 조정·중재회의를 개최했다.


이를 통해 마련된 조정 및 중재안을 기준으로 조합과 시공자간 추가적인 협의를 통해 1862억원의 증액에 합의해 올해 1월 18일 공사비 변경을 위한 총회의결을 마쳤다.


현재는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총 6곳에서 조정 및 중재 활동이 진행 중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등 여러 갈등 상화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가 갈등관리에 적극 나서서 갈등을 사전 예방하고 해결해 신속한 주택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