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카이스트 토크콘서트 참석
“AI칩 제작·LLM모델 개발할 것”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경쟁자인 중국의 속도를 보면 시간이 흘러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경고했다.
3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전날(2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 콘서트’에서 “중국이 인공지능(AI)도, 제조업도 우리나라를 앞서는 형태로 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장기적인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풀링(당기는 힘)’이 필요하다”며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제대로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트럼프가 관세를 올려 공장을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 옮기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다른 나라에서 성공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부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얼마나 독보적이냐가 경쟁력이고, 그래서 우리가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지금 줄 서서 사야 하는 것”이라며 “SK도 글로벌 전쟁을 하려면 힘들고, 상대의 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하고 쟁취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최 회장은 SK그룹의 AI 미래 전략으로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 제작과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을 만들어 메모리를 확장하는 플랜을 만들고,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싸게 짓는 길을 갈 것”이라며 “LLM 형태의 AI 솔루션을 만들고 기업간거래(B2B), 기업소비자간 거래(B2C) 모델도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최 회장과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정송 카이스트 AI대학원장, 카이스트 학생 및 예비 창업자 2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