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030 산단 근로자 산단 내 소비 건수 산단 밖 대비 4분의 1 불과


입력 2025.04.07 16:28 수정 2025.04.07 16:28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산단공, 삼성카드와 '산단 2030 근로자 소비성향 분석'

데이터 기반 산단 환경개선 협업

한국산업단지공단 본사 전경.ⓒ산단공

2030 산업단지 근로자의 산단 내 주요항목의 월평균 소비 건수와 금액이 산단 밖보다 각각 4분의 1, 7분의 1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삼성카드와 산단 청년 근로자의 환경 개선을 위해 '산단 2030 근로자 소비성향'을 분석했다고 7일 밝혔다.


산단공은 삼성카드와 함께 분석한 데이터를 활용해 산단 내 생활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등 '문화를 담은 산단' 계획에 반영해 산단을 청년 친화형 공간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이번 산단 2030 카드사용 분석은 서울디지털국가산단, 반월시화국가산단, 창원국가산단 3개 산단을 대상으로 했다. 삼성카드 회원 중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당 산단 내 2030 근로자 1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카드 데이터를 분석했다.


산단 2030 근로자의 카드 소비는 입지 특성, 생활인프라 접근성 등에 따라 일반적인 2030의 소비성향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산단 2030 근로자의 카드 소비는 산업단지에 편의점, 마트, 일반음식점 등 편의시설 부족으로 인해 사용 건수와 금액이 저조함이 확인됐다.


산단 내 주요항목의 월평균 소비 건수와 금액은 각 20.3%, 12.3%에 불과했다. 산단 밖에서의 소비 대비 건수는 4분의 1, 금액은 7분의 1 수준으로 저조했다.


또한 전체 2030 근로자의 소비가 가장 활발한 시간대인 '휴일'과 '밤(오후 7시~오전 5시)’에 산단은 생활 인프라 접근성 부족과 직주근접 소비 선호 등으로 인해 소비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조사 대상인 3개 산단의 소비인원 비중이 전국 기준과 비교해 평일은 38%, 휴일은 22%, 밤 시간대는 24% 수준을 밑돌았다.


산단공과 삼성카드는 이번 소비 데이터 분석 외에도 타겟 설문조사를 병행했는데 이를 토대로 산단 2030 근로자의 소비성향은 ▲단체생활 편의 ▲신속·간편 ▲직주근접 ▲실용적 ▲개인중심 소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단공은 이러한 청년층의 소비성향과 연계해 산업단지 내 휴게·간편식·쇼핑·친환경 공간을 확대하는 등 생활 인프라 개선 노력을 통해 노후 산업단지를 청년 친화형 공간으로 개선해 산업단지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상훈 산단공 이사장은 "데이터에 기반한 산업단지 지원정책을 실시하여 산업단지 근로환경 개선, 청년 근로자 유입의 효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산단공과 함께 산업단지 정책과 연계한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반 산단 청년층의 소비 실태를 파악한 첫 사례라 의미 있었다"고 밝혔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