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부과에 국내 증시 '우수수' 연일 폭락
4~5월 금리인하·추경 발표 등 부양책 기대감
"추경 20조원 이상이면 경기부양 모멘텀 확대되고 장기금리 상승"
"건설부터 소비까지 동시다발적인 경기부양책 나타날 가능성"
올해 내내 국내 증시를 누르던 탄핵 정국이 일단락됐지만 미국발 관세 폭탄 리스크가 현실화 되면서 지수가 연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부양책 등 재정정책에 따른 반등 모멘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22포인트(5.57%) 하락한 2328.20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 52주 최저점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시장을 강타하면서 시장 분위기 악화일로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국가 제품에 5일부터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올 9일부터는 개별 국가에 최대 50%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는 자유무역협정(FTA) 상대국 중 가장 높은 25%의 관세율이 부과될 전망이다.
아울러 중국은 관세 대응 차원에서 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34%의 관세율을 매기기로 했으며 유럽연합(EU)은 총 260억 유로(약 42조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관세 전쟁이 글로벌 물가 상승을 부추기며 수출 위주 경제구조를 지닌 한국 경제가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트럼프 보편관세의 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관세 부과 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9.3~13.1% 줄어들 전망됐다. 이로 인한 국내 부가가치 역시 약 7조9000억원에서 10조6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은 탄핵정국이 끝나고 이제 조기 대선 국면으로 전환되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된 만큼 4~5월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여부, 조기 대선 전후 추가경정예산 등 재정정책에 따라 시장의 방향이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한은이 전제한 것보다 강했고, 올해 성장률도 추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라며 "전제가 바뀌었기 때문에 한은의 추가 인하 시점을 4월로 앞당길 가능성은 높아졌다"고 말했다.
추경 편성 규모에 따라 국내 경기부양의 모멘텀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탄핵 선고 이전에 우리 경제는 미국의 상호관세로 인해 경기 하방위험이 높아진 상황이었다"며 "내수를 부양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안정화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추경 20조원 이상이면 한국 경기 부양 모멘텀이 확대되고 한국 장기금리는 상승할 것"이라며 "업종별로는 한국 경기에 대한 위기감이 부각되며 건설부터 소비까지 동시다발적인 경기부양책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가장 성과가 부진했던 저평가 내수주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