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하워드 감독 연출
'보헤미안 랩소디'로 큰 사랑을 받았던 라미 말렉이 '아마추어'로 돌아왔다.
9일 오전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제임스 하워드 감독, 라미 말렉이 참석한 가운데 '아마추어'의 화상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아마추어'는 현장 경험이 전무한 CIA 암호 해독가 찰리 헬러가 살해된 아내의 복수를 위해 자신만의 탁월한 두뇌와 기술로 거대한 테러 집단에 맞서는 지능적 스파이 스릴러이다.
라미 말렉은 이날 한국서 전 세계 최초 개봉한 것에 대해 "자랑스럽고 감격스러운 순간이다"라며 "이번 영화는 한국 영화로부터 교훈을 많이 얻어서 이런 훌륭한 장르 영화를 만들어냈다. 관객분들도 잘 만들었는지 본인의 구미에 맞는지 잘 보시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라미 말렉은 극 중 아내의 죽음에 복수하기 위해서 임무를 수행하는 CIA 암호 해독가 찰리 헬러로 분했다. 이에 라미 말렉은 "그동안 전형적인 영웅에 도전해왔다. 예술가로서 그 틀을 깨는 게 내 목표다. 항상 고민 끝에 의도를 가지고 다음 프로젝트를 선택해 왔다"며 "이 영화의 경우는 첩보물이라고 하는 장르가 어떻게 하면 여러 관객들한테 다가갈 수 있게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찰리 헬러가 눈에 띄지 않았던 사람인 만큼 어떻게 하면 비범하게 보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했다"라고 덧붙였다.
'아마추어'는 1981년 출간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제임스 하워드 감독은 시대적 배경의 각색 과정에 담았다며 "인물이 강력해 배우가 합쳐졌을 때 첩보물로 신선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출간 당시는 냉전시대였다. 정치, 문화, 기술적인 등이 영화화 하면서 각색됐다. 프라하가 스파이 도시였지만 유럽의 변두리 지역 중 가장 촬영이 적게 된 이스탄불로 공간을 옮기기도 했다.
정치적으로도 의미 있는 지역이라고 생각했다. 또 1981년엔 휴대전화나 감시 기술이 지금처럼 잘 되어있지 않았다. 이런 부분들을 영화로 옮기는 것들이 하나의 도전이었다"라고 신경 쓴 부분을 설명했다.
또한 제임스 하워드 감독은 "CAI에게 직접 자문을 받기도 했다. 그들의 경험을 공유 받고 우리가 상상하는 것들을 설명하니 지금 당장이라도 쓸 수 있는 기술이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우리가 미래에 가능할 것 같다고 생각했던 아이디어들이 지금도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을 때마다 흥미로웠지만 무섭기도 했다"라고 전했다.
2018년 개봉한 '보헤미안 랩소디'로 한국 관객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라미 말렉은 "당시 기분은 정말 말로 형용할 수 없다. 스튜디오에도 '보헤미안 랩소디'의 성공을 얘기할 때 한국 관객들이 정말 좋아하셨다고 말하면서 감격했던 순간을 기억한다"라며 "한국에서 그동안 배출된 한국 영화들을 통해서 내가 많은 것들을 배우고 나도 아주 좋아했다. 그런 훌륭한 영화가 나왔던 곳에서 한국 관객들한테 큰 사랑을 받았다고 하니까 너무나 영광이었다"라며 과거를 회상했다.
또한 라미 말렉은 "'보헤미안 랩소디'도 언더독 스토리"라며 "아무도 생각지 못한, 아무도 기대하지 않고 간과된 사람이 스페셜한 일을 해내는 이야기다. '보헤미안 랩소디'를 좋아한 관객이라면 '아마추어'에서도 예상치 못한 영웅의 탄생 과정을 보며 공감하실 거라 믿는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라미 말렉은 "액션 영화를 보고 나면 어린이들이 무술 동작을 따라 하지 않나. 관객들의 나이를 불문하고 용기의 의미, 끈기의 의미, 언어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면서 본인의 내면의 강인함을 찾아보면 좋겠다"라고 바랐다. 9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