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울시, 강동구 '싱크홀' 사전 경고 무시에…한동훈, 조속한 전수조사 촉구


입력 2025.04.09 14:09 수정 2025.04.09 14:17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지난해 서울시 '고위험지역' 보고서

대형 사고 발생한 강동구 빠지자

한동훈 "시민 안전 위해 당장

시급한 조치 세 가지 필요"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서울시가 지난 달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강동구 지역을 사전에 고위험 지역으로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싱크홀 위험 지역을 조속히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9일 페이스북에서 "서울시가 이미 지난해에 국토부에 시내 지반 침하 고위험 지역 보고서를 제출했지만, 사고가 발생한 강동구는 고위험 지역을 선정하지 않았고, 25개 자치구 중 8개 구에서만 회신한 고위험지역이 50곳에 달한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정부에게 지반 침하 우려가 큰 고위험 지역 50곳을 보고했으나, 지난달 대형 싱크홀 사망 사고가 발생한 강동구는 고위험지역으로 분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통해 해당 지역이 가장 높은 위험 등급임을 파악하고 있었음에도 정보를 시민에게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전 대표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 당장 시급한 조치로 세 가지가 필요하다"며 "이미 선정된 고위험지역은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서울시가 공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강동구 싱크홀 사고는 서울시가 해당 지역 일대를 싱크홀 위험이 가장 큰 5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었으나, 현장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현장 점검과 대책 실행 전까지 일단 시민들이 어느 곳인지 알 수 있도록 공개해서 시민 안전에 도움을 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서울시가 지반 침하 고위험 지역으로 선정한 이후에도 보고되지 않은 17개 구에 대해서도 조속히 고위험 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는 "재난안전관리에 책임이 있는 지자체가 예방을 소홀히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더욱이 강동구 싱크홀 사고까지 겪고도 손놓고 있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국토교통부의 위험지역 전수조사를 앞당겨야 할 것을 당부했다. 한 전 대표는 "지난해 국토부가 지하시설물 매립 구간, 하천 인접구간 등을 2년간 전수조사하는 방안을 수립했지만, 더 신속하게 해야 한다"며 "예산이 부족하면 추경에 반영해서라도 앞당겨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수진 기자 (ohs2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