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 10명 중 7명 ‘기후위기’ 걱정…“정부, 환경보전 제대로 안 해”


입력 2025.04.10 08:53 수정 2025.04.10 08:54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KEI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

응답자 68.2% 기후변화 위기 느껴

이상기후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구긴 10명 가운데 7명은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기후변화’를 꼽았다. 더불어 10명 중 4명은 친환경 활동은 시간과 비용 등 손실이 따른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정부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에서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늘었다.


한국환경연구원(KEI, 원장 김홍균)이 10일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8.2%가 기후변화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2021년 39.8%에서 불과 3년 만에 30%p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기후변화 심각성에 대해 ▲불안감(75.7%)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했다. 기후변화에 ‘무관심하다’는 응답은 30.2%에 그쳤다.


다만 위기의식에도 불구하고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감소 추세다.


‘불편함을 감소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58.4%로 조사됐다.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는 응답은 20%로 나타났다.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이라는 응답과 비교하면 12%p 이상 줄어든 수치다.


친환경적 태도나 생활 습관 실천이 어려운 이유로는 ▲친환경적인 행동(대중교통 이용 등)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6.0%) ▲ 친환경적 행동이 나의 건강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미세먼지 많은 날 걸어서 이동)(46.0%)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0.6%) 등의 의견이 많았다.


환경보전 주체가 누구냐에 관한 물음에 관한 응답자 비율 추이. ⓒ한국환경연구원

환경적 선택이 비환경적 대안에 비해 ‘손실’을 유발한다는 인식도 여전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경우 금전적 손실(비용이 많이 든다), 5060세대에서는 시간적 손실(시간이 많이 소비된다)이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은 ▲내가 일상에서 친환경적 노력을 하면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60.9%) ▲나는 마음만 먹으면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되는 행동들을 쉽게 할 수 있다(48.7%) 등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효능감을 느끼고 있었다.


KEI는 “효능감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환경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며 “위험이나 심각성 위주 환경정보보다는 문제 해결 방안이나 가능성 등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긍정적 정보의 유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으나 정부의 노력에 대한 부정 평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응답자 48.9%가 환경보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를 지목했다. 중앙정부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에서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늘었다.


KEI는 “환경문제 해결에 대해 정부 책임을 높게 인식하는 만큼 다양한 정책적 고려뿐 아니라 이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