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
응답자 68.2% 기후변화 위기 느껴
구긴 10명 가운데 7명은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기후변화’를 꼽았다. 더불어 10명 중 4명은 친환경 활동은 시간과 비용 등 손실이 따른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정부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에서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늘었다.
한국환경연구원(KEI, 원장 김홍균)이 10일 발표한 2024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68.2%가 기후변화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2021년 39.8%에서 불과 3년 만에 30%p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기후변화 심각성에 대해 ▲불안감(75.7%) ▲미안함(66.3%) ▲분노감(64.8%) 등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느낀다고 응답했다. 기후변화에 ‘무관심하다’는 응답은 30.2%에 그쳤다.
다만 위기의식에도 불구하고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감소 추세다.
‘불편함을 감소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58.4%로 조사됐다.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는 응답은 20%로 나타났다. 2018년 70.5%에 달했던 ‘환경친화적 행동 우선’이라는 응답과 비교하면 12%p 이상 줄어든 수치다.
친환경적 태도나 생활 습관 실천이 어려운 이유로는 ▲친환경적인 행동(대중교통 이용 등)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6.0%) ▲ 친환경적 행동이 나의 건강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미세먼지 많은 날 걸어서 이동)(46.0%)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0.6%) 등의 의견이 많았다.
환경적 선택이 비환경적 대안에 비해 ‘손실’을 유발한다는 인식도 여전했다. 세대별로는 20대의 경우 금전적 손실(비용이 많이 든다), 5060세대에서는 시간적 손실(시간이 많이 소비된다)이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은 ▲내가 일상에서 친환경적 노력을 하면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60.9%) ▲나는 마음만 먹으면 기후변화 완화에 도움이 되는 행동들을 쉽게 할 수 있다(48.7%) 등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효능감을 느끼고 있었다.
KEI는 “효능감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환경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며 “위험이나 심각성 위주 환경정보보다는 문제 해결 방안이나 가능성 등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긍정적 정보의 유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으나 정부의 노력에 대한 부정 평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응답자 48.9%가 환경보전의 책임 주체로 ‘중앙정부’를 지목했다. 중앙정부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2021년 35.5%에서 3년 연속 증가해 2024년 51.2%로 늘었다.
KEI는 “환경문제 해결에 대해 정부 책임을 높게 인식하는 만큼 다양한 정책적 고려뿐 아니라 이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