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이사를 왜 불탄 집으로 가나요" 산불 지역의 수상한 전입신고


입력 2025.04.10 14:45 수정 2025.04.10 14:46        이지희 기자 (ljh4749@dailian.co.kr)

산불 피해 주민 박경숙(67)씨가 9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의 전소된 집에서 피해 상황을 살피고 있다. ⓒ뉴시스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일부 지역에서 수상한 전입신고가 급증한 정황이 포착됐다. 일각에서는 산불 피해 주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재난지원금 등을 노린 '꼼수 전입'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10일 TBC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밤 발생한 산불로 10명이 숨지고 주택 1,500여 채가 소실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은 영덕에 산불 발생 다음 날부터 일주일간 관외 전입이 36건 이뤄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6배 늘어난 수치다.


이는 지난 2020년 9월 이후 53개월 연속 인구가 감소하던 영덕에서 매우 이례적인 현상.


특히 전입신고는 지난달 28일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 주민 전원에게 1인당 30만 원의 재난 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시점에 급증했다.


경북 안동에서는 산불로 전소된 주택 주소에 전입신고를 하는 사례도 발견됐다. 또한 안동은 3월 한 달 동안 주민등록 인구가 340명 증가하며 5개월 만에 증가세로 바뀌었고, 의성에서도 17개월 만에 15명이 늘었다.


안동의 한 읍면 담당자는 "재난 지원금 지급 계획이 보도된 날 오전부터 전입신고가 들어왔다"고 말했다.


읍면 지역에서는 주민센터를 직접 찾아 전입신고를 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휴일에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한 사례도 여러 건 확인됐다.


이처럼 수상한 전입신고는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각종 피해 지원금을 노린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경북도는 전입신고 기준일을 3월 28일로 정했다. 그 이전까지 피해 지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이들은 재난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게 됐다. 경북도에 따르면 산불 피해의 복구 및 지원을 위해 전국에서 모인 구호 성금은 지난 7일 오후 기준 112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지희 기자 (ljh4749@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