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4월 위기설’ 현실화…고환율 부담 더해진 건설사 위기감 고조


입력 2025.04.11 06:00 수정 2025.04.11 09:36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올 들어 폐업신고 건설업체 1000곳 ‘훌쩍’

4월까지 법정관리 신청 중견 건설사만 9곳 달해

경기 침체에 글로벌 악재 ‘겹겹’…수익성 악화 지속

건설경기 부진이 계속되면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건설사들이 늘면서 업계 전반의 줄도산 공포가 커지고 있다.ⓒ뉴시스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건설사들이 늘면서 업계 전반의 줄도산 공포가 커지고 있다.


공사비 급등과 지방 미분양 적체, 조기 대선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도 높은 관세 정책 영향으로 환율까지 출렁이면서 건설업계 ‘4월 위기설’이 점차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11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 1월 1일부터 지난 10일까지 폐업신고(변경·정정·철회 포함)를 한 건설사는 총 1037곳이다. 종합건설사 179곳, 전문건설사 858곳 등이다.


건설업계 장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자금난으로 쓰러지는 중견 건설사들도 눈에 띄게 늘었다.


올 1분기에만 신동아건설(58위)을 비롯해 대저건설(103위)·삼부토건(71위)·안강건설(116위)·삼정기업(114위)·대우해양조선건설(2023년 기준 83위)·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이 법원에 회생신청을 했다.


이달 들어선 이화공영(134위)이 법정관리를 신청했고 대흥건설(96위)이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준비 중이다. 이로써 올 들어 법정관리에 들어간 중견 건설사는 9곳이 됐다.


건설원가 급등으로 전반적인 수익성이 악화한 데다 지방 부동산시장은 쌓인 미분양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 신규 사업을 추진하기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일명 ‘악성 미분양’으로 물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달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가구로 한 달 전보다 3.7% 확대됐다. 2013년 10월 2만4667가구를 기록한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대외적으론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발목을 잡는다. 그에 따른 고환율 부담까지 가중되고 있다. 지난 9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1484.1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9년 3월 12일(1496.5원)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국내 건설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진 않을 전망이다. 다만 강달러 양상이 계속되면 철근과 시멘트 등 건자재 가격 상승을 초래해 수익성은 더 악화할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업계의 건설경기 전망도 부정적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한 달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한 68.1이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향후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불도저 정책이 장기화하면 내수경기 침체는 불가피하다”며 “이미 대형사들도 지방을 중심으로 신규 사업에 몸을 사리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자금 여력이 풍부하지 않은 중견·중소 건설사들은 더 큰 타격을 받게 되는 것으로 사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장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기대할 수도 없고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만한 이벤트도 없다”며 “가뜩이나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 악재가 겹치니 ‘4월 위기설’이 설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단 위기감이 커지는 것”이라고 전했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경기 둔화,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 등 구조적인 이유로 원·달러 환율이 1300원 아래로 내려오긴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환율이 급등하면 건설시장에 수입물가를 자극해 자잿값 상승 등 전반적인 공사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환율이 지속되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경기둔화가 심화될 수 있고 수요가 줄어 민간 건축시장을 중심으로 침체가 이어질 우려도 존재한다”며 “일각에선 환율 상승에 따른 해외사업 환 차익을 기대하지만 비용 상승 측면을 고려하면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수람 기자 (ba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