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8회 칸 국제영화제(이하 칸 영화제)에 한국영화가 단 한편도 초청 받지 못했다. 이는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10일(현지 시각) 오전 프랑스 파리 UGC몽마르스극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칸 영화제의 경쟁·비경쟁부문 등 초청작을 발표했다.
한국영화는 연상호 감독의 '얼굴',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 김미조 감독의 '경주기행'이 출품됐으나 황금종려상 등 주요 상을 놓고 겨루는 경쟁 부문뿐 아니라 비경쟁 부문,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주목할 만한 시선, 칸 프리미어 진출에 모두 실패했다.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와 나홍진 감독의 '호프'는 후반 작업이 마무리 되지 않아 출품하지 못했다.
한국영화는 20002년 임권택 감독 '춘향뎐' 꾸준히 주요 부문에 이름을 올렸으나 경쟁 부문에 진출한 건 2022년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한국 제작사가 만든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가 마지막이다. 지난해에는 류승완 감독의 '베테랑2'가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부문에 상영됐다. 칸 영화제는 2000년대 이후 거의 매년 적게는 1∼2편, 많게는 3∼4편씩 한국 영화를 초청했기에 올해의 결과는 위기로 풀이된다.
다만 칸 영화제가 공식 발표 이후에도 추가로 초청작을 공개하고 있어, 한국영화의 초청 가능성이 없는 건 전혀 아니다. 아직 감독주간과 비평가주간 등은 발표되지 않았다.
한편 올해 경쟁 부문에는 리처드 링클레이더 감독의 '누벨 바그', 웨스 앤더슨 감독의 '피니시언 스킴', 켈리 레아카트 감독의 '마스터마인드', 요아킴 트리에 감독의 '센티멘털 밸루', 프랑스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알파', 아리 에스터 감독의 '에딩턴', '데르덴 형제 감독의 '더 영 마더스 홈' 등 24편이 초청돼 황금종려상을 두고 경합을 벌인다.
올해 칸 영화제는 5월 13일 개막해 24일까지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