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트럼프 스트레스] "관세충격 강렬하지만 기간은 줄어들 듯"


입력 2025.04.12 06:08 수정 2025.04.12 06:08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상호관세 90일 유예됐지만 미중 관세전쟁 격화 속에 향후 증시 전망 다양

"밸류에이션·가격·수급 측면서 지수 하단 타진해볼 시점"

"관세 유예기간에 추가 관세 도입한 트럼프 1기 기억해야"

서울 영등포구 한국금융투자협회 앞 황소상(자료사진)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이외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 도입을 90일 유예했지만 미중 관세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증시 전망과 관련해 다양한 견해들이 나오고 있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관세 우려가 충분히 반영돼 지수 하단을 타진해 볼 시점이라는 의견부터 트럼프 대통령이라는 압도적 돌발 변수를 잊어선 안 된다는 관측 등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34포인트(0.50%) 내린 2432.72에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한 전날 6%대 급등세를 보였지만, 하루 만에 동력을 잃은 모양새다.


다만 미국의 관세 도입, 관련국의 보복관세 도입, 미국의 재보복 순으로 이어지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면하게 돼 낙관론이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백찬규 NH농협증권 연구원은 "충격은 강렬하지만 기간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며 "시장은 이미 관세 전쟁을 치러본 경험이 있고, 광범위한 국가를 트럼프 행정부 홀로 상대하고 있기에 협상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여진 가능성도 상존한다"면서도 "밸류에이션, 가격, 수급 측면에서 지수 하단을 타진해 볼 수 있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S&P500의 12개월 선행(12MF) 주가수익비율(PER)이 전 고점 22.6배에서 18.3배로 하락한 데다 알고리즘 트레이딩 확대와 마진콜 압박 국면도 관찰된다는 설명이다.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자료사진) ⓒAP/뉴시스

상호관세 유예로 시장이 숨 고르기에 나선 상황이지만,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을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 1기' 당시 관세정책을 복기해 보면, 시장이 안도하는 순간 충격파를 던지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협상 전략이 재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 행보가 1기 때와 같다는 것"이라며 관세 유예 90일 설정, 협상 국면에서의 온건파 부상 등을 예로 들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1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90일 관세유예를 발표했었다. 강경파가 전면에 나섰다가 온건파가 뒤늦게 부상해 협상을 주도하는 흐름도 유사하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시장이 '협상 낙관론'으로 기울던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관세를 도입했던 전례를 되새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연구원은 "(트럼프 1기) 당시와 같다면, 트럼프는 당분간 조용할 것"이라면서도 "90일(관세 유예기간)을 채우기 전에 '미국을 존경하지 않는다'며 관세 카드를 다시 꺼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자료사진). ⓒ뉴시스

'파월 풋'의 조기 등판 가능성이 흐릿해지는 분위기도 주목해야 한다는 평가다.


예정대로 부과되는 기본관세(10%) 영향, 향후 몇 달간 이어질 상호관세 협상 상황 등을 두루 따져본 뒤에야 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될 거란 관측이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참여자들은 관세 부과의 물가 충격이 제품 재고가 소진되는 6월 이후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연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점을 기존 6·7·9·10월 4회 인하에서 9·10월 2회 인하로 수정한다"고 밝혔다.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물가 충격 수준 등을 분석·평가하려면 일정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실제로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10일(현지시각) 조지타운대 행사에서 "관세가 인플레이션 기대치들을 불안정하게 하지 않는다는 확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가격 압력이 추가적인 정책 정상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