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평택 반도체 단지 유치…"삼성 6년 설득"
최근 개통한 GTX 추진도…수도권 교통 편의성 개선
"중도가 민생·경제라면 내가 가장 잘할 것" 자신감
"개발사업 몇십배 더 많이 했지만 비리 의혹 한 점 無"
"나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기도지사일 때 업적과 평판을 비교하면 (제 경쟁력이) 분명하게 보일 겁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장관직을 내려놓고 대선 출사표를 던졌다. 여론조사에서 우세를 점하고 있지만 '중도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의구심이 꼬리표처럼 쫓아다닌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반대 입장 고수 등으로 강성 보수 이미지가 대중에 각인된 탓이다. 대중은 김 전 장관이 대선 본선에 올라갔을 때, 이재명 대표를 과연 이길 수 있을지 주의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이런 의구심은 김 전 장관이 경기도지사 시절 이뤄낸 업적을 공정하게 평가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김 전 장관은 이재명 대표의 경기도지사 시절과 비교하면 자신의 치적은 더욱 두드러진다고 자신 있게 어필했다. 특히 도지사 시절 평택에 세계 최대 삼성 반도체 단지를 유치해 대규모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GTX 사업을 추진해 수도권 교통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점은 돋보이는 대목이다.
11일 데일리안과 만난 김 전 장관은 평택 삼성 반도체 단지 유치와 관련한 일화로 이야기를 풀어나갔다. 김 전 장관은 민선 4~5기 경기도지사를 지냈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일인데도 이날 인터뷰 내내 서면 답변지를 단 한 차례도 펼쳐보지 않을 정도로 당시 행정업무에 대한 소상한 기억력을 과시했다.
김 전 장관은 당시를 회상하며 "그 때 삼성전자는 국내에 반도체 투자를 일체 하지 않았다"며 "내가 경기도지사를 8년을 했는데 그 중 6년 동안 삼성전자를 설득했다. 그 결과 평택에 삼성 반도체 단지 착공식을 보고 퇴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반도체 단지 유치를 위해 마진 한 푼 없이 필요한 부지를 삼성전자에 되팔았다고도 했다. 그는 "취득원가가 평당 46만원인 농지를 취득해 한 푼도 안 남기고 그대로 넘겼다"며 "땅 장사를 하는 건 공직(公職)이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 한 푼도 남기지 않았다"고 했다.
또 서울에서 한 시간 넘는 거리에 있는 평택에 근로자를 유입시키기 위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을 추진했다. 김 전 장관은 "서울에 있는 삼성전자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강남에 살았는데 강남에서 한 시간 내로 출퇴근이 안 되면 다른 지역으로 전근 가지 않았다"며 GTX 착공 배경을 밝혔다. 이어 "GTX를 수서에서 타면 평택지제역까지 15분밖에 안 걸린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은 "반도체 개발엔 세척수(洗滌水)도 많이 필요하다. 세척수 관로는 지름 2.2m로 건물 내부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다. 그런 큰 관로를 팔당에서 평택까지 묻었다"고 했다. 이어 "반도체 공장엔 전기도 엄청 들어간다. 그 문제도 우리가 협의했다"고 덧붙였다. 이 모든 건 오로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였다. 그는 "평택 삼성 반도체뿐 아니라 판교 IT밸리, 파주의 LG LCD 관련 단지들도 전부 내가 만들었다"고 뿌듯해했다.
해외 투자 유치에도 몸을 사리지 않았다. 그는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 미국·유럽·일본 등 안 간 곳이 없다"며 "일본 제조업이 우리나라에 제일 많이 들어와있다. 삼성전자의 핵심 공정도 일본과 미국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 기업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려면 기업인만 (해외에) 가면 안 된다. 국가도 나서야 한다"며 "방산이 대표적이다. 해외 기업은 한화 회사 하나만 믿고 자주포를 사지 않는다. 대통령이나 국방부 장관이 (회사 제품을) 보증도 하고 AS(애프터서비스) 등 각종 지원도 약속해줘야 자주포나 T-50 고등훈련기 등이 팔리는 거다. 즉 국가간의 신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후배 경기도지사 출신' 이재명과 대결?
도지사 시절 치적과 청렴성으로 자신감
"내가 지사할 때 부지사들, 다들 잘 지내
주변에서 의문사 한 사람도 없다" 단언
그러면서 "우리나라 어떤 정당은 그런 식으로 대기업을 도와주는 게 '재벌 옹호'라고 했다"라며 "민주당 의원부터 도의원들까지 계속 나더러 '삼성의 하수인'이라고 하더라"며 실소했다.
김 전 장관은 이같은 도지사 시절 업적에 근거해 '후배 경기도지사 출신' 이재명 대표와의 경쟁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본인은 중도 확장성도 높다고 자신했다. 그는 "중도라는 건 민생이다. 이념에 치우치지 말고 민생을 챙기는 게 중도가 아니겠느냐"며 "그걸 누가 가장 잘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나는 왼쪽에서 오른쪽, 밑에서부터 위까지 전부 경험했다. 나만큼 구석구석 아는 후보가 어디 있겠느냐"고 했다. 김 전 장관은 젊은 시절 2년 반 동안 옥살이까지 한 전설적인 노동 운동가다.
무엇보다 본인은 청렴한 게 강점이라고 했다. 김 전 장관은 "대장동·백현동 개발사업을 한 이재명 대표보다 규모로 따져보면 몇십 배 더 많은 개발사업을 했다. 그 과정에서 어떠한 비리도 의혹도 없었다"며 "요즘은 비리가 있는 게 정상이고 없는 게 비정상이더라. 내가 아는 사람들은 나보고 '바보처럼 깨끗하게 살았다'고 그러더라"고 헛웃음을 쳤다.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이재명 대표와 함께 대북송금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김 전 장관은 "내가 도지사를 할 당시 부지사를 했던 사람들은 다 잘 지내고 있다"고 했다. 또 "나는 우리 형님을 정신병원에 집어넣으려 한 적도, 형수님께 쌍욕을 한 적도 없다. 내 주변에서 의문사를 한 사람도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전날 청년 간담회로 첫 대선 행보의 포문을 열었다. 그만큼 청년 문제에 관심이 많다. 지난 2월 '쉬었음' 상태의 청년 수가 50만명을 돌파한 데 대해 김 전 장관은 "54만 명이 교육도 아니고 훈련도 아니고 구직 활동도 아니고 그냥 쉬고 있는 거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을 때 그 청년들의 마음이 어떻겠느냐. 기성세대로서 정치하는 사람들로서 할 말이 없다. 최고로 급한 대한민국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기업은 지금 전부 해외로 빠지고 있다. 현대차도 31조를 미국에 투자한다. 삼성·SK·LG도 다 빠져나간다. 한국에서 사업 확대를 못 하는 데에는 많은 요인이 있다. 관세가 문제라면 대통령이 트럼프와 어떻게든 해결 해내야 한다. 관세라는 것은 상대적인 세율이기 때문에 다른 경쟁국에 비해서 세율을 1%라도 낮추면 된다"고 자임했다.
김 전 장관은 또 "국내엔 많은 규제가 있다. 암참(주한미국상공회의소)은 '한국에서 사업하면 감옥 간다고 하는데 누가 투자하나. 돈 벌려고 사업하지 감옥 갈려고 사업하는 사람이 누가 있느냐'고 하더라"라며 일자리 확대를 위해 과감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최근 화두로 떠오른 개헌에 대해서는 "수직적으로는 지방분권을 해야 한다. 각종 인허가권과 조세권을 지방에 많이 나눠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평적으로는 대통령과 국회와 사법부, 그리고 대통령과 각 부처 장관 사이에 권력이 일정하게 나눠져야 한다"며 "지금은 대통령이 너무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대통령이 수석·장관뿐 아니라 3급 이상 공무원을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과감하게 옆으로 밑으로 다 나눠줘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