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백신·치료제 없는 ‘SFTS 바이러스’…참진드기 붙으면 즉시 병원


입력 2025.04.14 12:00 수정 2025.04.14 12:00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A:작은소피참진드기, B:개피참진드기, C:일본참진드기, D:뭉뚝참진드기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주요 매개체인 참진드기 발생 감시를 4월 14일부터 시작한다.


14일 질병청에 따르면 참진드기는 유충, 약충, 성충 단계에서 각기 다른 숙주에 기생해 흡혈하는 습성을 가진다.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4~5월)부터 약충이 활동을 시작해 여름철(6~7월)에는 성충이 산란을 하고 가을철(9~11월)에는 주로 유충이 발생하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국내에서는 SFTS를 매개하는 참진드기 중 작은소피참진드기가 가장 많이 서식한다.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5~14일 이내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국내 첫 환자가 보고된 2013년 이후 지난해까지 총 2065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그 중 381명이 사망해 18.5%의 치명률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봄철 야외활동으로 인해 참진드기와의 접촉 빈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풀밭에 오래 머무르지 않기, 긴 소매의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기, 그리고 야외활동 후에는 작업복 등을 세탁해 주고, 반드시 몸을 씻고 참진드기가 몸에 붙어있는지를 확인하는 등 진드기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몸에 붙은 참진드기를 발견할 경우 주둥이 부분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어렵고 2차 감염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안전한 제거 및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박진석 기자 (real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