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4월 15일 일본군이 '민간인 29명 집단 학살' 되새겨
정명근 시장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 기억하는 것은 역사적 의무"
화성특례시는 오는 15일 화성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기억을 넘어 평화로, 희생을 넘어 희망으로'를 주제로 제106주년 제암리·고주리 학살 순국선열 추모제를 주최한다. 시는 매년 4월 15일, 제암리 및 고주리 일대 등에서 학살 희생자 29인을 기리는 추모제를 개최해왔다.
올해 추모제는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고주리 6인 순국묘역터(덕우공설묘지)와 제암리 23인 순국묘역을 차례로 참배하며 순국선열들의 넋을 기린다.
2부 본행사는 오후 3시,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야외 잔디마당에서 거행되는 추모 행사로 막을 연다.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추모영상 상영, 유공자 표창,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추모사, 유가족 대표와 주요인사의 기념사가 이어진다. 또한 어린이합창단과 꿈나래어린이무용단의 추모 공연도 마련돼 추모의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올해로 106주년을 맞는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은 3·1운동 직후 벌어진 대표적인 독립운동 탄압사건으로, 일제가 만세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을 향해 만행을 저지른 사건이다.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읍 제암리와 팔탄면 고주리 일대에서, 일본 헌병대는 3·1운동에 참여한 제암리 주민들을 강제로 불러 모은 뒤 제암리교회 안에 가두고 불을 질렀다. 뜨거운 불길 속에서 탈출하려는 주민들에게는 총격이 가해졌고 일부는 칼에 찔려 목숨을 잃었다. 같은날 인근 고주리에서도 끔찍한 학살이 이어졌다.
학살로 희생된 주민은 총 29명(제암리 23명, 고주리 6명)으로 모두 제암리, 고주리의 독립운동가였다. 민가 30여채도 불에 탔다.
일본 당국은 사건 발생 직후 현장을 급히 수습하고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했으며, 희생자 유족들에게 철저한 함구를 강요했다. 살아남은 주민들은 공포 때문에 가족과 이웃을 잃고도 울음조차 제대로 터뜨릴 수 없었다.
당시 일제의 잔혹한 학살 사건은 해외 선교사들을 통해 폭로됐다.
캐나다 출신의 프랭크 스코필드 선교사(한국명 석호필)는 언더우드 선교사를 통해 사건을 접했고, 사건 사흘 뒤인 18일 제암리 마을을 직접 찾아가 참혹한 현장을 사진으로 남겼다. 스코필드는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학살의 진상을 담은 '제암리 학살 보고서 (The Massacre of Chai-amm-ni)'를 작성해 캐나다 선교부에 보고했다. 이는 일본의 비인도적인 만행을 국제사회에 폭로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시에 따르면 해방 후 1959년 4월, 대통령의 친필이 적혀진 '순국기념탑'이 세워지며,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가 처음 이뤄졌다. 1970년 9월 22일에는 제암리 교회 터에 일본 개신교계에 의해 '사죄의 교회당'이 완공됐다. 1982년 순국선열 23인의 합동묘역이 조성됐고 1995년에는 23인 선열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설치되기도 했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서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를 계기로 일제 잔재 청산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제암교회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타 복원사업이 추진됐다. 1997년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 주도로 순국기념관 건립 기본계획이 세워지며 제암교회 복원과 새로운 기념관 건립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사죄의 교회당'은 철거됐다. 이후 총 1만7000여㎡에 이르는 제암리 성역단지에 1300여㎡ 규모의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건립이 시작됐고 2001년 3월 1일에 완공됐다.
당시 제암리3·1운동순국기념관에는 주민들의 구술을 바탕으로 재현한 그날의 역사를 생생하게 담았다. 학살의 참상을 증언하는 전시물과 영상 역시 모두 지역 주민들의 기억과 참여를 통해 구성됐다.
화성시는 추모제 외에도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의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아픈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시는 2024년 4월 15일,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공식 개관했다. 이 기념관은 기존의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을 재구성했다. 4월 15일은 일제의 만행으로 희생된 순국선열들의 희생을 잊지 않겠다는 굳은 다짐이자 약속이었다.
정명근 시장은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으로 희생당한 분들의 이름을 다시 부르고 진실을 바로 세우는 일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역사적 의무"라며 "화성특례시는 학살로 희생된 분들의 고통과 외침을 깊이 새기며,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이 미래 세대에게 올곧게 전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