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M-ROBO' 출시 간담회
'중관여 투자자' 겨냥한 서비스…"고도의 1인 자산관리 받도록 할 것"
"장기적으로 유사 직군 통합운용하는 알고리즘까지 고도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RA) 서비스 '엠로보(M-ROBO)'를 출시했다. 특히 AI 기술에 기반한 RA 서비스로 개인화와 수익률을 동시에 도모해 주목 받고 있다.
이준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진행된 퇴직연금RA 서비스 'M-ROBO(엠로보)' 런칭 기자간담회에서 "(투자에) 관심이 있지만 금융 정보에 접근할 기회가 없거나 너무 바빠 서비스를 못 받는 계층이 굉장히 많다"며 "업계에선 '중관여자'라는 표현을 쓴다. RA 시장이 중관여자들에게 굉장히 좋은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퇴직연금 시장이 적립으로 경쟁하는 시장이었지만, 궁극적으로는 수익률(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엠로보를 통한 적극적 수익률 관리로 고객들의 평안한 노후 동반자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손수진 ETF연금마케팅부문 대표는 올해부터 '연금 2.0시대'가 열렸다며 "앞으로는 투자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밖에 없고, 결국 수익률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손 대표는 "자금을 받은 이후 어떻게 자산 관리를 하고, 리밸런싱을 적절한 시점에 하느냐가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라며 "(지금까지) 적정한 수익률 그리고 시장 상황에 맞도록 리밸런싱하는 기능은 타깃데이트펀드(TDF)를 운영하는 운용사가 수행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엠로보를 통해 고액 자산가들만 누릴 수 있었던 고도의 1인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창헌 로보어드바이저운용본부장은 "미래에셋의 운용역량과 AI역량을 결합해 좋은 성과를 내는 알고리즘 만드는 데 집중했다"며 "초개인화, 맞춤화가 다음 방향이라 생각한다. 고객 한 분만을 위해서 뛰는 엠로보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투자를 이어온 기술력과 자사 운용역들의 전문성을 결합해 엠로보를 선보이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 본부장은 "미래에셋자산운용 알고리즘의 핵심, 그리고 차별화 포인트는 결국 운용 인력의 도메인 지식"이라며 "금융 분야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적고 노이지하기 때문에 AI를 활용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인간 매니저가 선생님 역할을 하면서 AI가 잘 배울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해야 된다"고 전했다.
미래운용 측은 맞춤화 과정에서 유사성이 확인되는 인원들을 집단으로 묶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손 대표는 "엠로보는 장기적으로 유사 직군들을 통합운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까지 고도화해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큰 방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