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안정적’ 유지


입력 2025.04.15 19:21 수정 2025.04.15 19:21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연합뉴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종전과 같은 ‘AA’로 유지했다. 등급 전망도 동일하게 ‘안정적’(stable)을 부여했다.


S&P는 지난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한 이후 이를 유지해오고 있다.


S&P는 향후 3~5년 동안 한국 경제가 다소 둔화되겠지만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들보다는 높은 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재정 적자도 향후 3~4년 동안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S&P는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해 국제 무역 여건 악화 등으로 올해 1.2%로 둔화했다가 내년에는 2.0%로 회복할 것으로 봤으며 오는 2028년까지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매년 약 2% 추세로 성장하면서 2028년에는 1인당 GDP가 4만1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S&P는 한국의 제도·정책적 환경이 국가신용을 뒷받침하는 중요 요소라고 언급했다.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 선포로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가 다소 손상됐으나 신속한 계엄령 철회와 대응이 악영향을 완화했다고 해석했다.


Video Player is loading.
더 알아보기
Current Time 0:00
/
Duration 0:00
Loaded: 0%
Progress: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0:00
1x

한편, 대통령 선거 일정이 확정되기까지 정해진 법 규정과 절차가 적절하게 지켜짐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안정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았다고 보면서 일련의 과정에서 정책 기관들의 적극적 정책 대응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금융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최근 확대된 정치적 분열이 지속될 경우 차기 정부의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금융기관의 우발채무 리스크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몇 년간 확대된 비금융공기업의 채무가 재정 운용에 제약 요인이라고 봤다.


또 북한 정권 붕괴 시 발생할 통일 비용은 불확실하고 매우 부담이 큰 우발채무로서 한국 신용등급에 가장 큰 취약요인이라고 분석했다.


S&P는 “양호한 순대외자산과 경상수지 흑자 지속 등 견조한 대외 건전성이 신용등급의 확고한 기반”이라며 “경상수지 흑자는 향후 3년 동안 GDP의 5%에 근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변동환율제도와 함께 활발하게 거래되는 한국 외환시장의 폭과 깊이는 한국 경제에 튼튼한 외부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S&P, 무디스, 피치 등 국제 신평사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우리 경제 상황 및 정책 방향을 적극 설명하는 등 대외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