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속눈썹에서 두 종류의 기생충이 동시에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중국 항저우 절강대학교 안과 의료진에 따르면 48세 여성 A씨는 눈의 극심한 가려움증과 함께 검은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을 겪었다.
2주간 증상이 지속되자 A씨는 병원을 찾았고, 의료진이 현미경으로 검사하자 속눈썹 부위에서 수십 마리의 살아있는 벌레가 발견됐다. 검은 점처럼 보이던 이 벌레들은 속눈썹에 달라붙어 고정돼 있었다.
눈꺼풀 가장자리에 약간의 출혈만 있었을 뿐 시력 저하 등 다행히 다른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의료진이 기생충의 정체를 확인한 결과, 이는 사람의 얼굴 위 털이 있는 구멍에 어디든 들어가 기생하는 벌레인 모낭충이었다. 크기는 0.1~0.4mm로, 현미경 없이는 보기 힘들 정도로 작다. 낮에는 피부 깊숙한 곳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피부 표면으로 나와 짝짓기를 한다. 모아충 개체 수가 많아지면 여드름 악화, 모낭염, 가려움증 등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함께 사면발이도 발견됐다. 사면발이는 사람의 사타구니 털에 살면서 하루에 4~5회 흡혈을 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기생충이다. 유일한 숙주가 사람이며, 감염 경로는 주로 성적 접촉으로 알려졌다. 드물게 수건, 침구류, 옷 등을 통해서도 감염되지만 가능성은 낮다.
의료진은 “두 종류의 기생충이 동시에 감염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기생충을 기계로 제거하려고 했으나 수가 많아 제거에 실패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부 속눈썹을 제거할 수밖에 없었고, 2주간 소독과 함께 티트리 오일 등으로 치료 후 추적관찰을 했다. 치료 중에는 다른 사람과의 신체 접촉을 피하고 옷이나 수건을 공유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라고 전했다.
중국에서 한 여성의 속눈썹에서 두 종류의 기생충이 동시에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중국 항저우 절강대학교 안과 의료진에 따르면 48세 여성 A씨는 눈의 극심한 가려움증과 함께 검은 분비물이 나오는 증상을 겪었다.
2주간 증상이 지속되자 A씨는 병원을 찾았고, 의료진이 현미경으로 검사를 진행하자 속눈썹 부위에서 수십 마리의 살아있는 벌레가 발견됐다. 검은 점처럼 보이던 이 벌레들은 속눈썹에 달라붙어 고정돼 있었다.
눈꺼풀 가장자리에 약간의 출혈만 있었을 뿐 시력 저하 등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의료진이 기생충의 정체를 확인한 결과, 이는 사람의 얼굴 위 털이 있는 구멍에 어디든 들어가 기생하는 벌레인 모낭충이었다.
이와 함께 사면발이도 발견됐다. 사면발이는 사람의 털에 살면서 하루에 4~5회 흡혈을 하며 생명을 유지하는 기생충이다. 유일한 숙주가 사람이며, 감염 경로는 주로 성적 접촉으로 알려졌다.
의료진은 “두 종류의 기생충이 동시에 감염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기생충을 기계로 제거하려고 했으나 수가 많아 제거에 실패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부 속눈썹을 제거할 수밖에 없었고, 2주간 소독과 함께 티트리 오일 등으로 치료 후 추적관찰을 했다. 치료 중에는 다른 사람과의 신체 접촉을 피하고 옷이나 수건을 공유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