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늘·유해진 주연
'야당'이란 제목은 자연스럽게 정치를 떠올리게 하지만, 황병국 감독은 "정치 영화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영화가 깊어질수록 이야기는 결국 정치권력의 부정부패로 브레이크 없이 향해 간다.
야당의 의미는 정치 용어가 아닌 마약 세계에서 경찰이나 검찰의 수사기관 브로커를 뜻하는 은어다. 경찰은 야당을 통해 정보를 얻어 마약 범죄를 소탕하고 야당은 그에 부합하는 이익을 얻어 간다. 국내 영화에서 야당을 등장시킨 건 '야당'이 최초다.
영화는 이강수(강하늘 분)이 교도소에서 자신을 조사하던 검사 구관희(유해진 분)와 손잡고 마약판을 소탕하지만, 권력욕에 휩싸인 구관희에게 배신을 당하자 통쾌한 복수를 펼치는 영화다.
부정부패한 검사 구관희와 대선 후보 아들 조훈(류경수 분)와의 결탁, 그리고 모든 사건을 권력자의 아들 조훈에게 유리하게 조정하는 검사기관 등의 쓰임은 우리가 지금까지 많이 봐온 영화들과 얼개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렇다고 재미가 없거나 식상하게 느껴지진 않는다는 점이 미덕이다.
신선한 소재를 속도감과 쾌감으로 버무려 익숙하게 풀어냈다. 카체이싱을 비롯해 타격감 넘치는 액션 신들이 몰입도를 끌어올리고, 권력과 결탁한 카르텔이 공고하게 묘사될수록 그를 향한 복수의 쾌감은 더욱 짜릿하게 다가온다.
또한 영화가 현실과 닮아 있어 더욱 몰입하게 된다. 영화는 대선 후보 아들에게 90도로 인사하는 검사의 모습이나, 피의자로 소환된 권력자와 검사의 짜고 치는 판이 노출되는데, 이는 현실에서 포착된 검찰의 민낯을 떠올리게 한다.
실제로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민정수석이던 고위 인사가 검찰 조사를 받으며 팔짱을 낀 채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고, 검사들과 나란히 웃는 모습이 보도된 적 있다. 영화는 이런 장면들을 은유적으로 재현해 관객으로 하여금 이미 익숙한 진실과 다시 마주하게 만든다.
두 번의 대통령 탄핵을 겪으며 권력의 민낯을 직시해 온 관객에게 영화 속 권력의 세계는 보다 현실성 있게 다가온다.
강하늘은 야당으로 기세등등하던 모습에서 마약에 취해 무너지고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그려내며 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유해진 역시 지금껏 우리가 익숙하게 봐온 전형적인 부패 검사와는 다른 얼굴이다. 그의 캐릭터는 감정을 쉽게 읽을 수 없는 무채색의 결로 그려지며, 서늘한 기류를 형성한다.
조훈 역의 류경수 연기도 인상적이다. ‘망나니 재벌 2세’ 캐릭터 하면 떠오르는 ‘베테랑’의 유아인표 조태오와는 또 다른 이미지다. 류경수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장난기 어린 악동의 얼굴로 긴장감을 조성하며, 해맑고 단순한 태도로 이 모든 판이 자기 뜻대로 굴러가는 게 당연하다는 듯 행동한다. 그런 무심한 태도가 오히려 공포감을 자아낸다. 16일 개봉. 러닝타임 12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