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가 아시아 순방에 나서면서 한국을 제외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 등으로 불안정한 국내 정치 상황이 반영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 국무부는 15일(현지시간) 션 오닐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고위관리(Senior Bureau Official)가 16일부터 25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와 호치민, 캄보디아 시엠립, 일본 도쿄, 하와이 호놀룰루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통상적으로 미 고위 당국자들이 아시아 순방에 나설 때 방문하는 경로였으나,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불안정한 국내 정치상황을 고려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는 거듭 외면받고 있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도 지난달 첫번째 아시아 순방에 나서면서 일본과 필리핀만 방문했다.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음에도 한국의 정치 상황을 고려해 방문하지 않은 것이다. 한국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면서 정치 불확실성을 다소 해소했지만, 새 정부가 아직 구성되지 않아 고위 당국자 순방에서 배제된 것으로 보인다.
오닐 고위관리의 이번 아시아 순방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중국의 동아시아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주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 순방에 나섰는데, 관세갈등을 틈타 해당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무부에 따르면 오닐 고위 관리는 호치민에서 베트남측 카운터파트와 양국간 포괄적 전략 파트너십의 바탕이 되는 공동 관심사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제37차 미국∙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대화에서 공동 의장으로 양측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그는 일본을 방문해 일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미·일 동맹과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미·일 간에도 관세협상과 관련한 현안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오닐 고위관리는 또한 하와이 군시설을 방문해 인도·태평양 주둔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