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경제권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항공산업 일자리 생태계 구축
인천시는 중장기 ‘항공산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수립, 미래 항공산업의 선도적 혁신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인천국제공항 경제권 활성화, 항공정비(MRO) 산업 생태계 구축,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촉진, 드론산업 실증클러스터 조성, 우주·방산산업 성장 기반 구축 등 5대 전략과 18개 실행 과제로 짜여졌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국제공항과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한 ‘공항경제권 기반 항공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항공산업 기획, 항공정비, 운항·비행, 산업 및 건설지원 등을 각각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항경제권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 지원으로 인천공항공사와 협력체계를 마련, 법적·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공항과 주변 개발 협조로 상생 협력도 본격화 할 예정이다.
아울러 항공정비(MRO) 분야에서 정비단지 활성화와 민간 정비업체 유치 및 교육 인프라 등을 구축, 정비 수요의 국외 유출방지와, 국내 정비 산업의 자립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AM) 분야에서 실증노선 기반 구축과 제도 정비를 병행해 도심항공교통(UAM) 통합 관리시스템을 통한 ‘인천형 도심항공교통 생태계’도 조성할 방침이다.
또 항공 전문인력 양성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갖춰 산·학·연 연계 청년 대상 항공 특화 교육과정 확대로 항공정비 허브를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활용한 항공산업의 최적지”라면서 “앞으로 세계 글로벌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항 경제권 구축과 항공기 중정비-엔진정비-개조에 이르는 산업 구조를 새로 마련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는 국방 관련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발굴과 육성을 위한 ‘국방벤처센터’설립과 관련해 인천연구원과 함께 설립 타당성 조사를 병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방위사업청과 지자체 간 협업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인천시 내 국방 산업 생태계 기반 확대 가능성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