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대선 앞두고 정치테마주 기승…거래소 “불공정거래 강력 대처”


입력 2025.04.23 15:58 수정 2025.04.23 15:58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지난해 12월 이후 주가 변동률 122%…시장 평균 대비 6배↑

테마주 분류 기업, 재무구조 열악…자산·영업실적 등 부진

추종매매 자제 당부…“실적·펀더멘털 등 고려해 투자해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서울사옥 전경. ⓒ한국거래소

최근 21대 대선이 확정되며 정치 테마주를 둘러싼 이상과열 조짐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거래소가 정치 테마주에 대한 투자유의 안내를 발동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23일 “21대 대선이 확정되며 정치 테마주의 과열 양상이 지속됨에 따라 정치 테마주의 이상 급등과 관련한 투자 피해를 사전 예방하고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이 결정된 이후 여야 각 대선 후보 등판에 따른 테마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종목(115종목)을 살펴보면 약 52%(60종목)가 정치 테마주에 해당한다.


특히 이달(4월 1~18일)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된 37개 종목 중 무려 78%(29종목)가 정치 테마주로 과열 양상이 확대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 테마주의 주가 변동률은 121.81%로, 시장 평균(코스피 16.47%·코스닥 24.12%) 대비 약 6배 높다.


거래소는 정치 테마주로 분류된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열위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자산·매출액 규모가 시장 평균보다 작은 중소형주이며, 영업실적도 시장 평균에 비해 낮은 종목이 다수다.


실제로 정치 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코스피가 3317억원, 코스닥이 590억원으로 나타났다. 시장 평균(코스피 2조 2290억원·코스닥 1214억원)을 고려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에 거래소는 확인되지 않은 풍문이나 막연한 기대감 등의 이유로 주가·거래가 급증하는 종목의 추종 매매를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기업의 실적, 재무 상태 및 시장 환경 등 펀더멘탈(기초체력)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 결정을 거듭 강조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대선 기간 정치 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 조치를 적극 실시하고, 불공정거래행위 포착 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라며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알게 되면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신고센터에 신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