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상장사들 "조기 대선 앞두고 왜 尹정부 밸류업 정책에 급하게 동참해야 하나"


입력 2025.04.24 05:12 수정 2025.04.24 05:12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취지로 정책 시행 1년, 참여율 5%…4월 들어 공시 급감

6월 밸류업 지수 편입·편출에 관심 없어…尹탄핵 및 美관세전쟁 지속 여파

조기 대선 날짜 임박할수록 尹정부 밸류업 정책 더욱 동력 잃어갈 듯

"밸류업 지수에 편입돼도 주가 상승 보장 안 돼 기업들의 참여 의지 점점 약해져"

ⓒ픽사베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 1년 가까이 흘렀지만 상장사들의 참여율은 5%에 불과한 실정이다. 밸류업 지수 리밸런싱(구성종목 변경)을 앞두고도 기업들의 반응은 여전히 시큰둥하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여파와 미국의 관세 전쟁 등이 계속된 탓으로 "조기 대선을 앞두고 왜 윤석열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 급하게 동참해야 하는가"라는 인식이 상장사들 사이에 팽배해 있다.


24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정보시스템(KIND)에 따르면 이달(4월 1~23일) 들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은 총 6곳이다. 지난해 5월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참여한 상장사가 총 137곳인 점을 고려하면 참여 기업은 전체 상장사의 약 5%에 불과하다.


특히 3월 주주총회 시즌이 종료됨과 동시에 기업들의 밸류업 참여가 급감했다. 올해 2월과 3월 공시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각각 16건, 20건이었으나 주주총회가 마무리된 4월부터 확연히 줄어든 셈이다.


정부가 밸류업 우수기업 표창과 감리·제재 인센티브 등을 약속하고, 밸류업 우수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으나 기업들의 참여는 여전히 저조하다.


무엇보다 이달 30일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 대상으로 6월 밸류업 지수 편입 여부가 검토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효과가 없는 상황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 2차 공판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는 무엇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여파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미국의 관세 전쟁도 함께 지속되자 밸류업 프로그램은 서서히 시장에서 존재감을 잃어 갔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조기 대선 국면이 시작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급하게 동참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상장사들 사이에 퍼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선 날짜가 임박할수록 밸류업 정책이 더욱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밸류업 프로그램과 지수를 강조하던 정부가 사실상 부재한 상황에서 기업들의 참여 의지가 점점 더 약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오는 6월 밸류업 지수가 출범한 이후 첫 정기 변경이 이뤄지지만 기업들이 편출·편입에 크게 관심이 없는 듯하다”며 “밸류업 지수에 편입돼도 주가 상승이 보장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포함될 이유가 없다는 인식이 강해졌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차기 정부에서 밸류업 정책을 반드시 이어 간다는 보장도 없고 기업들이 동참하더라도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진주 기자 (pearl@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