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해 홍콩 H지수 연계 ELS 사태는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 밀어내기식 영업행태 반복과 내부통제나 리스크 관리체계 미비 등 소비자보호 시스템의 문제를 여실히 드러냈다"며 "금융당국은 ELS 사태 이후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통해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했으나 여전히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4일 오후 서울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토론회'에서 "금융상품 설계부터 판매,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 걸쳐 소비자보호 원칙이 실효성 있게 적용되려면 제도적인 보완 뿐만 아니라 금융사 스스로가 소비자보호를 중시하는 조직문화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면·AI 기반 서비스 확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신종 위험을 사전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장애인·노년층 등 디지털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제도개선 또한 지속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토론회는 금소법 시행 이후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홍콩 H지수 ELS 사태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과 디지털화 등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보호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금감원 임직원을 비롯한 은행연합회장 및 학계‧업계, 소비자단체, 연구소 등 각 분야의 전문가 패널이 참석한 가운데 ▲금소법 도입 4년의 성과와 과제 ▲ELS 사태의 원인과 대응 및 과제 ▲최근 환경변화에 따른 금융소비자보호 방안에 관한 주제 발표에 이어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서는 ▲불완전판매 예방 ▲디지털화 등 환경변화 대응 방안 ▲금융소비자보호규제 체계 보완 사항 등 폭넓은 주제가 논의됐다.
김미영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번 토론회가 금소법 시행 4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함께 고민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금융소비자보호가 금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건전한 발전을 위한 필수 기반이므로 금융당국과 업계가 책임감을 가지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에서 논의된 사항은 향후 제도개선 등에 충실히 반영하는 한편, 앞으로도 현장 소통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