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한국과 일본 등에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계획을 몇 주 안에 밝힐 것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24일(현지시간) 알려졌다. 알래스카주 LNG가스관 사업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에너지 의제 중 하나로 의회연설 당시 파트너로 한국과 일본을 호명한 바 있다.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하는 미 백악관 산하 에너지 지배위원회의 위원회 관계자는 오는 6월 2일 알래스카에서 개최하는 서밋(summit)에 한국과 일본의 통상 관계자들이 알래스카 LNG 투자의향서에 서명한다고 발표할 수 있게 되길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440억 달러(약 63조원) 규모의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은 북극권의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1300㎞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한 뒤 그곳에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 등으로 수출하는 계획이다. 이 계획은 10여 년 전에 처음 제안됐지만 막대한 투자비용을 비롯해 사업성 부족 등으로 인해 성공 가능성이 낮은 프로젝트로 여겨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첫날인 지난 1월 20일 파이프라인 건설이 포함된 알래스카 에너지 개발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알래스카 LNG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 등이 한·일 등을 상대로 광폭 세일즈를 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의회연설에서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거대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의 LNG 사업 참여는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의 레버리지(지렛대) 중 하나로도 거론되고 있다. ‘에너지 안보’라는 실리를 챙기면서도 미국 측이 문제 삼는 대미 무역흑자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까닭이다. 현재 한·미 두나라 간 실무 협상이 진행 중이고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가 곧 알래스카 현지도 찾을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