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 87% '원자력 필요' 응답…75.5% '원전 안전하다' 인식


입력 2025.04.25 16:56 수정 2025.04.25 16:56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재개 이후 최고 수준

에너지정보문화재단, '2025년 1차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발표

원자력발전 및 현안 인식.ⓒ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국민 87%가 원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이 안전하다는 인식을 가진 국민도 75.5%로 집계돼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재개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2025년 1차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에너지 현안,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에너지·원자력 관련 인식 조사가 포함돼 있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을 통한 전화조사를 진행했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에너지 현안은 전기요금 안정화(36.5%), 탄소중립 목표달성(24.4%), 전력망 안정화, 에너지 안보(각 17.0%) 순이었다.


국민들은 현재 전기요금 관련해 현행 유지(49.0%), 요금 인하(28.4%), 요금 인상(21.0%)에 대한 의견을 보였다. 요금 인상이 필요한 분야는 산업용, 요금 인하가 필요한 분야는 주택용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에 발표된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현 가능성에 있어 '낮음'이 43.6%, '높음'이 40.4%로 나타났다. 실현 가능성이 낮은 이유(1순위 기준)로는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 부족 (43.9%), 실현 가능성이 높은 이유(1순위 기준)로는 전력 산업의 기술 발전(43.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자력 관련 조사 결과는 국민 10명 중 8명이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2023년 재개한 조사 후 가장 높은 수치인 87.0%로 꾸준한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해 일반 국민 응답자의 75.5%가 '안전하다'고 답했으며 71.2%가 '국내 원전의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안전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사 결과 또한 2023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치가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37.6%), 전 세계적 운전(22.6%), 철저한 안전관리(20.7%) 등의 이유로 국내 원전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 응답자의 70.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원자력 발전량에 대해서는 60.1%가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1.3%로 '찬성할 것' 46.2%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이유로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편, 찬성 이유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급성의 경우 '시급하다' 응답이 91.8%로 '시급하지 않음' 5.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외 원전사업이 국내 원전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 응답이 76.4%로 '부정적' 18.4%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주수 에너지정보문화재단 대표이사는 "국민의 대다수가 원자력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공감했다는 결과는 매우 의미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국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문화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