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30살' 된 부국제, 경쟁영화제로 새 출발 선언…대상을 폐막작으로 [D:현장]


입력 2025.04.29 13:55 수정 2025.04.29 13:58        류지윤 기자 (yoozi44@dailian.co.kr)

경쟁 부문 대상 수상작을 폐막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부터 경쟁영화제로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29일 오전 부산 영화의전당 비프힐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국제) 기자간담회에는 박광수 이사장과 정한석 신임 집행위원장, 박가언 수석프로그래머가 참석했다. 이 기자간담회는 온라인 생중계로도 진행됐다.


2년 동안 공석이었던 집행위원장 자리는 정한석 프로그래머가 신임 집행위원장으로 나서면서 부국제 정상 체제를 갖추게 됐다.


또 남동철 수석 프로그래머가 영화제를 떠나, 중남미와 유럽 영화를 담당했던 박가언 프로그래머가 수석 프로그래머로 활동한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경쟁영화제로 새 출발, 개 폐막식 운영 변화, 비전 섹션 확장 및 통합 운영, 공식 초청장 선정 규모 확대 등의 변화와 제30회 부국제 기념 로고 및 영상이 공개됐다.


박광수 이사장은 "1996년, 비경쟁영화제로 출범했던 부산국제영화제가 30회를 맞는 2025년, 경쟁영화제로서 다시 시작한다. 올해부터 부산국제영화제는 한 해를 대표하는 최고의 아시아 영화를 선정하는 경쟁 부문과 부산 어워드(Busan Award)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아시아 영화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경쟁 부문은 14편 내외로 선정하며, 하늘의 전당 하늘연 극장을 비롯한 주요 상영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선정된 작품들은 엄정한 심사를 거쳐 폐막식에서 시상된다. 시상 부문은 대상,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 총 5개 부문이다.


또한, 경쟁 부문과 비전 부문에 상영되는 데뷔작 감독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심사위원단이 1편을 선정, 뉴 커런츠상(New Currents Award)을 수여한다. 새로운 세대의 영화 창작자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영화제의 역할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제30회를 맞아 개막식과 폐막식 운영 방식을 새롭게 개편한다. 올해부터 폐막식은 경쟁 부문 시상식 중심으로 진행하고, 별도의 폐막작 초청 없이 경쟁 부문 대상 수상작을 폐막작으로 상영한다. 민규동 감독이 개막식과 폐막식 연출을 맡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축소되었던 공식 상영작 편수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회복한다. 2024년 224편에서 올해 약 240편 내외로 확대하며, 영화의전당 인근은 물론 센텀시티 외 지역 멀티플렉스와도 협력해 상영관 네트워크를 넓힌다. 이를 통해 관객 편의성과 인기작 관람 기회를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작품 한 편을 유치하는 데는 많은 스태프들의 노력이 필요한 만큼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더 많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영화를 만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 업무 현황 파악을 위해 다양한 영화계 인사들을 만나 의견을 들은 결과, 가장 많이 나온 요청 중 하나가 '보고 싶은 영화를 볼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이는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관객들도 공통적으로 강조한 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작품 수를 지난해보다 약 10편가량 늘리기로 했다"라고 이유를 밝혔다.


올해 부국제의 영화진흥위원회 지원급은 5억 4700만원으로 2010년에 비해 3분의 1 수준이다. 박가언 수석 프로그래머는 "2010년 입사 당시 비교해 보면 전체 예산 규모는 큰 변화가 없지만 국비 지원은 현저히 줄어들었다. 물가 상승, 인건비와 운영비 증가 등 영화제를 개최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빠르게 늘어났지만, 예산은 오히려 줄어들어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비단 부국제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 다수 문화 행사들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현실이기도 하다"라며 "작년에는 다행히도 적극적인 스폰서 유치를 통해 무사히 영화제를 운영할 수 있었지만, 올해는 경기 침체 등 외부 여건이 더욱 나빠진 상황이라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상영관 확충 등 다양한 개선 계획 역시 모두 재정이 필요한 항목인 만큼, 제한된 예산 안에서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많은 분들이 영화제의 어려움에 공감해 주시고, 그 인식 자체에 감사드리지만 어려움을 핑계로 삼지 않고, 최선을 다해 좋은 결과 만들어내겠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부국제는 개막작을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전,란'으로 선정해 정체성을 흔들렸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와 관련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OTT와의 관계 설정 문제는 영화제에 있어 중요한 이슈임을 인지하고 있다. 한국 영화산업이 위기에 처한 지금, 이러한 질문은 더욱 시급하게 다가오며, 저와 영화제 모두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라면서도 "현실적으로 OTT는 이미 우리 삶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이를 고려할 때, OTT 플랫폼을 무작정 배제하거나 외면하는 것은 시대 흐름과 동떨어진 판단이다. 많은 영화인들이 현재 OTT 중심의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라고 전했다.


이어 "작년에 개막작으로 OTT 작품이 선정된 데 대한 다양한 반응이 있었던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부국제는 OTT 작품이라는 이유만으로 배제하지 않는다. 작품의 중요성과 맥락을 중심으로 개막작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 다만, 개막작이 영화제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상징처럼 비친 지난 사례들에 대해선 반성하고 있다. 영화제의 모든 작품, 특히 올해 새로 신설된 경쟁 부문 14편을 포함한 240편 모두가 영화제의 핵이심이다. 단지 개막작 한 편에 모든 의미를 집중하는 방식은 지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부국제는 9월 17일 개막해 9월 26일까지 열흘간 부산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진행된다.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류지윤 기자 (yoozi44@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