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멀다 터지는 상호금융 금융사고…언제까지 반성만 [기자수첩-금융]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입력 2025.04.30 07:02  수정 2025.04.30 07:02

횡령·불법대출 등 금융사고 포함 직장내괴롭힘 비일비재

국민 신뢰 무너져…땜질식 대응 보단 근원적 해결 필요

내부통제 강화·디지털 보안 시스템 재정비 등 개혁해야

감독당국, 실효성 있는 감시 체계 마련해야

농·축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에서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노력하고 있지만, 워낙 점포 수가 많다보니..."


얼마 전 상호금융권 관계자를 만나 당시 발생한 금융사고에 대해 물었다. 이 관계자는 본인도 곤혹스럽다는 듯 말을 잇지 못했다. 중앙회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감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1만개에 육박하는 점포를 모두 통제하기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들어보니 이들의 입장도 나름대로 이해는 됐다. 하지만, 내부 통제 시스템에 대한 의문은 가시지 않았다. 유사 사례가 여기저기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상호금융권 소식을 경제면이 아닌 사회면에서 보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임직원들의 횡령과 불법대출 등 금융사고는 물론이고, 조직 내 직장내괴롭힘·갑질 등 문제도 수없이 발생했다. 이를 세상에 알린 내부 고발자에게 2차 가해를 하는 등 불이익을 주기도 했다. 놀라울 만큼이나 비상식적인 일들이 상호금융권에서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논란들이 끊임없이 세상에 드러났음에도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사고가 터지면 기관들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철저히 조사하겠다', '앞으로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식의 입장을 발표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유사한 사고가 또다시 터져 나온다.


그러는 사이 국민의 신뢰는 점점 무너지고 있다. 오랜 세월 지역 서민의 든든한 금융 버팀목 역할을 해온 상호금융기관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금융기관으로 전략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이제는 땜질식 대응을 하기보단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와 감독당국의 책임도 요구된다. 그동안 상호금융기관은 여타 금융기관에 비해 느슨한 규제를 적용받아 왔다. 이같은 배려가 어쩌면 작금의 상황을 야기한 것일지도 모른다.


늦지 않았다. 지금부터라도 내부통제 강화, 디지털 보안 시스템 재정비 등 제도적 개혁을 시행해야 한다. 감독당국 역시 상호금융기관에 대한 실효성 있는 감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지금처럼 '자율'이라는 명분 아래 느슨한 규제가 이어진다면, 유사한 금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복되는 금융사고는 절대 우연이 아니다. 지금이야 말로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기다. 그렇지 않으면 상호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계속될 것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박상우 기자 (sangwo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