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다양한 선거 관련 정보를 담은 '제21대 대통령 선거 특별페이지'를 개설하고, 후보자 정보 관련 서비스 운영 기준을 30일 공개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특별 페이지는 ▲각 언론사가 뽑은 주요 선거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 PiCK' ▲언론사의 여론조사 보도, 분석, 특집 기사 등을 모아 보는 '여론조사' ▲선거 당일 방송사 특보 생중계, 출구조사 결과 등을 제공하는 '특집 라이브' 등으로 구성된다.
네이버 뉴스는 2018년부터 언론사가 직접 댓글 제공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언론사별 댓글 선택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선거 기간에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선거 분야 뉴스도 댓글의 정렬 옵션, 운영 여부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돈다. 본인 확인을 거친 계정만 24시간 내 댓글 20개까지 작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매크로 활동이나 부정행위 등을 막기 위한 기술적, 정책적 노력을 병행한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 집중 모니터링 전담 담당자를 확충하는 등 24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각 부서 핫라인을 구축해 매크로 활동과 부정행위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선거 기간 중 후보자 관련 댓글 삭제 요청은 KISO(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 규정에 따라 처리되며, 관련 법령에 근거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판단에 따른다.
또, 네이버는 기사 내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 비공감이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해당 기사에 안내 문구를 표기하고 언론사에도 알림을 발송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댓글 작성이나 공감 참여에 있어 대립이나 갈등이 과열되는 양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5월 11일 대통령 후보자 등록이 마감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이름, 사진, 출생, 직업, 학력 등 후보자 정보를 제공한다. 후보자명에 자동완성 및 검색어 제안 기능은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