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전 장관 제10차 OOC 기자회견
“자동차 업계도 내연기관으로 안 돌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反) 기후 정책도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국무부 장관, 조 바이든 대통령 시절 기후특사를 지낸 존 케리 전 장관은 “지난 트럼프 정부에서 파리협정에서 탈퇴했지만, 임기가 끝날 무렵 미국에서 새로 생산한 전력의 75%가 재생에너지였다”며 “지금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90%까지 올라섰다”고 강조했다 .
케리 전 장관은 29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열린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OC)에 참석해 기자회견에서 “해상풍력 등 일부 분야는 타격을 받을 수 있겠지만, 세계 시장은 이미 ‘전환’이라는 결정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7년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뉴욕·캘리포니아 등 여러 주지사와 함께 ‘우리는 여전히 여기에 있다(We’re Still In)‘ 재생에너지 확대 운동을 시작했고, 여러 주에서 재생에너지 의무 비율을 유지하는 전환적 흐름을 이어갔다”고 했다.
이어 “포드와 GM, 포르쉐 같은 자동차 업체들이 대통령이 누군지에 따라 내연기관차로 되돌아가지는 않는다”며 산업계의 불가역적인 친환경 행보를 설명했다.
기술의 발전과 가격 경쟁력도 강조했다. 그는 “시장에서 결정하는 것은 언제나 가격이다. 더 나은 에너지원이 더 저렴하다면, 사람들이 그것을 선택할 것”이라며 “중국이 최근 리튬이 필요 없는 새 배터리를 공개했는데, 이는 전기 저장 기술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해운업의 탄소 감축 필요성도 지적했다. 그는 “해운이 하나의 국가라면 전 세계 탄소 배출량 기준으로 8번째일 것”이라며 “주요 해운사들이 국제해사기구(IMO)와 함께 배의 동력 방식을 탄소 배출 없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지금이 그 변화의 시작점”이라고 했다.
케리 전 장관은 “탈탄소 전환은 희생이 아니라 경제적 기회”라며 “더 깨끗한 공기, 줄어든 질병, 줄어든 재난 복구 비용 등 혜택은 뚜렷하다. 이는 아시아든 미국이든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 위기의 시계를 되돌릴 수는 없지만, 지금 결단하고 기술을 적극 도입하면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