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발전,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까지 디지털 트윈 구축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입력 2025.04.30 14:13  수정 2025.04.30 14:13

ETRI-한전기술와 업무협력의향서 체결

한국남동발전은 30일 경남 진주 본사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력기술(KEPCO-E&C)과 손잡고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까지 전주기 디지털트윈 구축과 기술산업 성장을 위한 업무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남동발전

한국남동발전이 발전소 건설 단계에서부터 운영까지 전 주기에 걸쳐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에 나선다.


남동발전은 30일 경남 진주 본사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력기술(KEPCO-E&C)과 손잡고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까지 전주기 디지털트윈 구축과 기술산업 성장을 위한 업무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사물,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를 디지털 공간에 동일하게 모사해 실시간으로 연결·분석·예측할 수 있는 가상 모델 기술이다.


업무협약은 디지털플랫폼 정부 정책에 부응하고 디지털혁신 기반 스마트팩토리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발전소 건설부터 운영까지 전주기 디지털트윈 구축 협력 ▲디지털트윈 기술개발과 고도화 ▲국내·국제 표준개발 공동추진 등에 적극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남동발전은 이번 협약으로 현재 진행 중인 고성천연가스발전소의 건설 단계부터 운영까지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발전소 전주기에 디지털트윈을 적용함으로써 발전소 건설 중 발생할 수 있는 설계오류와 시공간섭을 사전에 검토하여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할 수 있다. 또 건설 단계에 발생하는 데이터 자산의 최적관리와 업무효율 향상 등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남동발전은 앞으로 디지털트윈 글로벌 표준화 작업을 선도해 국내 에너지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협력을 넘어, 미래형 스마트 발전소 구축을 향한 장기적 비전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디지털트윈 성공모델 구축을 통해 디지털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모범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남동발전은 지난 2022년 영흥발전본부에서 발전사 최초로 운영 중인 발전소에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 바 있다. 올해 4월 열린 '2025 스위스 제네바 국제 발명품 전시회'에서 '스마트 풍력발전단지 운영 디지털트윈'을 출품해 금상과 특별상을 수상하는 등 디지털트윈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ETRI와 협업해 디지털트윈 분야 ISO 국제표준 문서에 내용 등재를 추진하는 등 앞으로도 지속적인 유관기관 협업과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에너지 분야 디지털대전환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