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못 추는 지방금융…"혼자선 안돼" 정책 지원 필요 목소리 '쑥'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입력 2025.05.01 07:48  수정 2025.05.01 07:48

경기 침체 '직격탄' 맞는 지역 경제

취약 차주 늘어나 기초 체력 흔들려

악순환 끊기 위해 정책적 지원 필수

BNK금융그룹(왼쪽부터), DGB금융그룹, JB금융그룹 본사 전경. ⓒ각 사

지방금융지주들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이 1년 전보다 10%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로 이자 부담이 늘어난 지역 기업들의 부실이 지방금융에도 전이된 것이다.


지역 버팀목 역할을 해야 하는 지방금융이 흔들리면서, 일각에서는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오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JB·iM금융 등 3대 지방 금융지주의 1분기 순이익은 48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8% 감소했다.


지주별로 보면 BNK금융은 1666억원을 시현하며 같은 기간 동안 33.2% 줄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순이익이 각각 31.6%, 31.4% 줄었다.


JB금융은 6.0% 감소해 1628억원을 기록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실적이 각각 8.6%, 8.7% 줄며 실적을 끌어내렸다.


iM금융은 지방지주 중 유일하게 실적이 개선됐다. 1년 전보다 38.1% 증가하면서 1543억원을 시현했다.


그러나 이는 대손충당금 축소로 얻은 성과로, 지난해 대규모로 적립했던 대손충당금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지주들의 건전성 역시 악화했다. 특히 지방은행으로부터 빌린 돈의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부실채권(NPL)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BNK금융의 올 1분기 NPL은 1.69%로 전년 동기 대비 0.84%p 뛰었고, JB금융은 0.91%에서 1.19%로 상승했다. iM금융의 NPL은 1.63%로 같은 기간 동안 0.33%p 올랐다.


금융권에서는 지방금융의 실적 악화가 단순 금융 산업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한다. 지방금융은 금융 지원을 통해 지역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데, 건전성이 악화하면 우량기업 위주로 대출을 취급하는 등 지원 역량에 한계가 생길 수밖에 없어서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방금융 차원에서의 실적 개선 노력으로는 지역 버팀목 역할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상황이 악화됐다는 얘기다.


이상원 동아대 금융학과 교수는 이달 열린 '지역경제의 위기와 지방은행의 역할' 포럼에서 "지역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위험가중치 완화 등 은행 경영실태평가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성주 BNK 경영연구원 부장은 지방은행의 경쟁력이 약해지고 있다면서 "신용보증제도 강화, 보조금 및 세제혜택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방안에 대해 현재 업권에서는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거래 비중을 높이거나 지방자지단체 금고 시정 시 지방은행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식 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논의 속도는 미진한 상황이다. 특히 관련 내용을 담은 '지방은행 육성 특별법'은 논의 자체가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의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기초 체력에 해당한다"면서 "취약 차주들이 많아져 기초 체력이 흔들리면 당연히 금융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악화로 지방 기업들에게 대출 등 금융지원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할 지방금융 자체가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쓰기

정지수 기자 (jsindex@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관련기사

댓글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