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 의지 바라볼 수 있는 정치세력
국민의힘 환골탈태 수준 개혁해야
'총선 악연' 이준석과 연대 가능성엔
"개혁신당 역할 중요하다면 존중"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다시 '사법 리스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면서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실현 여부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법원이 '유죄 취지' 파기환송을 한 관계로 그간 압도적 선두를 자랑하던 이 후보의 지지율이 흔들리기 시작한다면, 반이재명 세력이 다함께 모여 '빅텐트'를 치면 충분히 해볼만한 여건이 조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그 중에서도 관심을 끄는 것은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의 '빅텐트' 참여 여부다. 이 상임고문은 6·3 대선 출마 의지를 밝히고 새민주당을 선대위 체제로 전환했지만, 다른 대선후보와의 연대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는 관측이다. 이 고문은 지역적으로는 광주·전남, 정치적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DJ) 세력, 이념적으로는 중도 성향을 대표하고 있어 반이재명 세력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인물로 꼽히고 있다.
문제는 '빅텐트' 참여 여부가 안갯속이라는 점이다. 이 고문은 지난달 22일 채널A '정치 시그널'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위태롭다"며, 민주당 경선에서 득표율 90%를 넘긴 현상에 대해 "사당화가 완성됐다"고 직격한 바 있다.
당시 그는 국민의힘과의 빅텐트론에 대해선 "빅텐트라는 용어는 조금 생소하다고 할까. 딱 맞는 것 같지 않다"며 "위기극복·정치개혁·사회통합 세 가지 방법을 포함해 뜻을 같이 하는 사람과 협력하겠다. 그러나 아무리 외롭다고 해서 아무나 손 잡지는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위기극복·정치개혁·사회통합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내걸었지만 이 조건들은 아무래도 추상적이다. 이것만으로는 '움직이기 위해서는 명분이 필요하다'는 정도의 발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 현실정치에서 이러한 조건들이 어떻게 구체화될 것인지가 관건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남은 열흘 남짓 동안 이 세 가지 조건이 어떻게 구체화되면서 이 고문이 '반명 빅텐트'의 지붕 아래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 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고문 측은 '개헌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이 고문 측 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어렵고 급박한 국면에서 위기극복·정치개혁·사회통합 세 가지 과제를 같이 해결해야 하는데, 세 가지 과제의 중심에는 '개헌'이 있다"며 "개헌까지도 같이 바라볼 수 있는 정치 세력이면 대화하고 함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민주당은 '빅텐트' 참여의 전제조건으로 국민의힘의 당명 개정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이 관계자는 "비상계엄과 윤석열과 결별할 수 있는 수준의 국민의힘의 개혁이 있어야 할 것"이라는 말로 답을 대신했다.
오는 3일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어떤 인물이 대선 후보로 선출돼야 '빅텐트' 가능성이 높아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 '인물'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으면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아야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해당 관계자는 "비상계엄과 탄핵에 대한 완전한 조치와 함께, 윤석열 대통령과의 인연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 국민께서 충격받은 비상계엄에 대해 앞으로 어떻게 할 건지에 대한 환골탈태 수준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그런 것들이 국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입장"이라고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역시 '반명 빅텐트' 참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이낙연 고문과는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합당했다가 11일 만에 합당 철회를 선언했던 악연이 있다.
이러한 이준석 후보와 '빅텐트' 아래에서 한데 모일 가능성에 대해선 "이낙연 총리가 제시했던 3대 과제, 윤석열의 계엄세력과 완전한 결별이 가능하다면 이준석 후보라고 마다할 이유는 없지만, 지난번 합당 과정에서 (이 후보가 보여준) 정치 형태에 대해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다만 "당으로서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개혁신당의 역할도 중요하다면 존중할 것"이라고 답했다.
0
0
기사 공유
댓글
댓글 쓰기